-
-
공부도 모르고 공부하지 마라 : 1등급을 만드는 자기주도학습의 힘
발행연도 - 2016 / 권승호 지음 / 이담 Books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1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390993
-
ISBN
9788926876046
-
형태
184 p. 23 cm
-
한국십진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
학습지도, 교육방법
-
카테고리분류
청소년
>
교양/학습
>
공부/학습법
책소개
학생은 공부가 자신의 의무이자 권리로서 스스로 즐길 수 있는 능동적인 활동임을 깨달아야 하고, 학부모와 교사는 그럴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방향을 제시해주어야 한다. 현직 교사이자 아버지인 저자가 학부모, 학생, 교사들에게 진짜 공부를 위한 준비를 이야기한다.
목차
들어가며
1장 공부를 잘하기 위한 올바른 자세
01 공부해야 하는 이유를 분명하게 알아야
02 목표가 분명하게 정하여져야
03 즐거운 마음을 가질 수 있어야
04 불편한 마음을 만들지 말아야
05 ‘의문’과 ‘호기심’과 ‘왜?’가 있어야
06 마음의 여유를 가질 수 있어야
07 질문하기를 두려워하지 말아야
08 ‘아는 것 같은 것’을 ‘아는 것’으로 착각하지 말 아야
09 냉정할 수 있어야
10 ‘하면 된다’는 자신감을 가져야
11 처음은 어렵다는 사실을 알아야
12 유혹에 흔들리지 말아야
13 내 탓이라고 생각할 수 있어야
14 가르칠 기회가 온다는 마음을 가져야
15 실수를 시인하고 잘못을 용서할 수 있어야
16 실패에 미소 지을 수 있어야
2장 효율적인 학습 방법
01 시간 도둑질을 당하지 마라
02 지식도 유기체임을 알라
03 수면 부족으로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없다
04 대충 여러 개보다 하나라도 확실하게 알라
05 스트레칭으로 경직을 풀라
06 공부도 함께하는 것이 좋다
07 전체를 훑어본 후 부분을 공부하라
08 반복하고 또 반복하라
09 자기반성을 구체화하라
10 반드시 예습하라
11 실패를 두려워 마라
12 추리 상상하는 습관을 길러라
13 제목으로 추리하고 연구하라
14 말은 줄일수록 좋다
15 헛공부에서 진짜 공부로
3장 어휘력과 사고력이 중요하다
01 독이부지의(讀而不知意)
02 문제풀이 중심의 공부는 위험하다
03 모른다는 사실을 인정하라
04 의문 만들기를 즐겨하라
05 국어사전을 친한 친구 삼아라
06 한자는 공부를 재미있게 만든다
07 공부에 필요한 어휘의 대부분은 한자어이다
08 한자 공부 역시 암기가 아니라 이해이다
09 기억력 향상법
10 대학수학능력시험은 사고력을 측정한다
4장 자기주도학습이어야 하는 이유
01 숙제를 위한 숙제를 하는 어리석음
02 고독의 시간을 즐길 수 있어야 한다
03 선생님보다 먼저 친구에게 질문하라
04 시험 이후 분석하고 정리하는 일이 더 중요하다
05 성적은 학생이 결정한다
06 이해한 이후에 암기하라
07 앵무새이어서는 안 된다
08 시험 문제는 교과서에서 출제된다
09 배우지 않음이 진짜 배움이다
10 예습은 필요하고도 중요하다
11 ‘앎’은 ‘모름’을 인정하는 일에서부터 시작된다
12 공부는 선생님이 시켜줄 수 없다
13 사교육이 필요 없는 이유
14 노무현 전 대통령의 유산
15 독서백편의자현(讀書百遍義自見)
5장 수업 시간, 이렇게 하라
01 지식 쌓기는 행복 쌓기이다
02 선생님과 호흡을 함께하라
03 생각하는 공부라야 한다
04 생각하고 또 생각하라
05 책 속의 사진과 그림과 도표를 주시하라
06 책상 앞에서 올바른 자세로 공부하라
07 기초 쌓기에 충실하라
08 미루는 일은 어리석음이다
09 수업 시간에 공부하라
10 맞공부이어야 한다
11 스크랩만 해놓는 어리석음
12 자기주도학습이 진짜 공부다
6장 부모와 교사, 이렇게 하라
01 알묘조장(揠苗助長)의 어리석음
02 성적을 결정하는 요인
03 목마르게 한 후에 물을 주어라
04 먼저 철들게 하라
05 표현하는 사랑이 아름답다
06 공부할 시간을 빼앗지 마라
07 선생님께서는 이렇게 말씀해주셨어야 했다
08 선생님도 학생하기 나름이다
09 과유불급(過猶不及)의 어리석음
10 깨부술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하다
11 그래도 스스로 하도록 하라
글쓰기를 마치며: 학부모님께 드리는 편지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5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5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