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개성교육 = Individual education : 꿈과 창의력을 키우는 여섯 가지 학습전략
발행연도 - 2017 / 김일남 지음 / 북랩(Book Lab)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보존서고(일반)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390977
-
ISBN
9791159874338
-
형태
307 p. 21 cm
-
한국십진분류
기술과학
>
생활과학
>
육아
-
카테고리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책소개
꿈을 이루기 위한 학습전략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이 책에서는 6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키워드는 꿈, 교육환경, 자기주도적학습, 창의성, 질문하는 습관, 인성이다. 저자가 37년간 교육현장에서 아이들과 함께하며 보고 느낀 모든 경험과 꿈꾸는 아이로 키우기 위한 비법이 이 책에 모두 녹아 있다.
목차
시작하는 글
1장 꿈을 꾸어야 꿈을 이룬다
꿈은 만들어 간다
꿈을 꾸는 사람은 행복하다
자기 꿈을 이룬 사람은 자신감이 있다
체화학습이 꿈을 키운다
독서는 꿈을 찾는 공부이다
우리 애들도 세상을 바꿀 또 다른 사과(Apple)를 만들 수 있다
작은 성공이 더 큰 성공을 가져온다
2장 창의성은 고정관념의 탈출에서 시작한다
고등사고력은 창조와 융합적인 ‘마음경영 방법’에 있다
물음에 답은 틀린 답이 없다. 다른 답이 있다
지식경제시대는 지식을 이용하는 방법을 공부해야 한다
복사꽃과 오얏꽃은 말이 없어도 저절로 길이 생긴다
교육은 잠재된 재능을 이끌어내는 것이다
개인 내 차이도 존중해 주어 좋아하는 것을 잘하도록 안내한다
공부를 잘하는 어린이는 공부를 좋아하기보다는 즐긴다
창의성은 고정관념의 탈출로부터 시작한다
기존 지식을 강조하는 교실에서는 창의성이 나타나지 않는다
창의성 교육을 학교교육의 정점에 두고 있다
창의성은 기초교육이 충분해야 커진다
창의성 계발은 학생이 주도하고 다섯 원리를 존중한다
창의성은 만들어 가는 것이다
3장 질문이 있는 교실에서 생각이 자란다
정답을 말하는 학생보다는 질문하는 학생이 더 창의적이다
질문이 있는 교실은 생각이 소통하는 마당이다
논어는 제자의 질문과 공자의 응답으로 이루어졌다
공자도 발문하고 집단토론을 중시했다
소크라테스는 조산술로써의 발문론을 주장했다
루소의 『에밀』은 학습자로부터의 질문을 강조했다
토론은 첨단 공부방법이다
토론문화는 민주시민의 자질을 키우는 첫걸음이다
토론을 경험해야 높은 곳에서 멀리 볼 수 있다
토론과정에서 의사소통의 모형이 있다
4장 공부는 내가 하는 것이다
학습에 대한 책임은 학습자 자신이다
긍정의 힘을 키워주면 자아존중감이 강해지고 학력이 향상된다
자기주도적학습론의 연원은 ‘줄탁동시 학습론’이다
무엇 때문에 공부를 하는지를 먼저 깨닫도록 한다
지식을 얻으면 전략가이나 지혜를 얻으면 명장이다
놀이 시간을 확보한 어린이일수록 배움의 즐거움을 만끽한다
적정수준불균형 학습방법을 적용하면 공부를 하고 싶어 한다
5장 좋은 텃밭에서 꿈이 자란다
학습속도는 학생 수만큼 다르다
선생님을 존경하는 국가는 세계를 지배한다
교육은 좋은 환경에서 더 잘 이루어진다
그릇의 크기가 커야 더 큰 고기로 키울 수 있다
천재는 환경에 의해 만들어진다
참된 지식은 체화된 지식이다
한국 학생은 빨리 배우지만 가르치는 방법은 뒤처진다
부모의 긍정적 기대는 애들의 자긍심을 갖게 하는 것이다
공부 잘하는 아이는 지능 때문이 아니다
집안일 돕고 자란 어린이가 성공한다
6장 인성이 튼튼해야 좋은 꿈을 꾼다
지는 방법을 공부해야 이기는 방법도 배우게 된다
더불어 사는 능력이 오늘을 살아가는 최고의 이력이다
인성이 학력이다
내 자식이 최고가 아니다
큰 사고와 좋은 인성은 집단 속에서 자란다
교실수업은 인간존중을 으뜸으로 한다
인성교육은 나를 사랑하는 일부터 출발한다
아름다운 인성은 진선미 교육에서 채워진다
주고받고 나눌 줄 아는 인성은 생존철학이다
밥상머리교육은 통합적인 인성교육의 마당이다
인권은 마침표가 없다
끝맺는 글
참고문헌 및 도움자료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