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서론과 결론을 겸한 머리말
제1장 「모죽지랑가」의 시대적 배경 재론
1. 서론
2. 「모죽지랑가」와 배경 설화
3. 신문왕의 즉위와 혼인
4. 『삼국사기』 : 효소왕 6살(?) 즉위 16살(?) 승하
5. 『삼국유사』 : 효소왕 16살 즉위, 26살 승하
6. 員子(원자)와 王子(왕자)
7. 효소왕: 원자 아닌 왕자
8. 오대산 사적에 대한 검토
9. '경영의 모반'과 효소왕의 외할머니
10. 결론
영문 초록[abstract]
제2장 효소왕의 출생 시기 관련 기록 검토
1. 시론
2. 『구당서』, 『신당서』, 『자치통감』의 증언
3. 『삼국사기』의 기록
4. 『삼국유사』의 설화
5. 결론
영문 초록[abstract]
제3장 『삼국유사』의 '정신왕', '정신태자'에 대한 재해석
1. 서론
2. 이 시대에 대한 『삼국사기』의 증언
3. 「대산 오만 진신」과 「명주 오대산 봇내태자 전기」의 관계
4. 보천태자, 성덕왕의 입산 기록 검토
5. 성덕왕 즉위 기록 검토
6. 「민지 기」의 검토
7. 결론
영문 초록[abstract]
제4장 『삼국사기』의 '원자'의 용법과 신라 중대 왕자들
1. 서론
2. 원자의 용례
3. 신라 중대 왕자들의 사정
4. 결론
영문 초록[abstract]
제5장 입당 구법승 교각[지장], 무상, 무루의 정체와 출가 계기
1. 당나라 고승이 된 신라 왕자 3명
2. '경영의 모반'의 실상
3. 신문왕 넷째 사종: 500 나한의 455번째 나한 무상선사
4. 효소왕의 아들 김수충: 지장보살 김교각
5. 신문왕의 다섯째 아들 김근{흠}질: 은천 하란산의 석 무루
6. 왜 역사 기록이 윤색되었을까: 통일 신라는 외척의 시대
7. 결론: 무상은 김사종, 무루는 김근{흠}질, 교각은 김수충이다
영문 초록[abstract]
참고문헌
찾아보기
신라 왕실의 가계도
연표 찾아보기
발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