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근현대사학회 연구총서 4권.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중반, 1940년대까지의 시기에 중국인들에 의해 제기되었던 아시아주의 혹은 대아시아주의에 대한 실증적 검토를 통해 근현대 시기 중국인들의 아시아 인식과 아시아연대에 대한 주장이 어떤 내용과 특색을 가지고 있는지를 밝혀보고자 한다.
목차
중국근현대사학회 연구총서를 펴내며 책머리에 들어가는 말
제1부 19세기 말 개혁파와 아시아주의 제1장 황쭌셴의『조선책략』과 아시아주의 1. 머리말 2. 일본 초기 아시아주의의 형성과 흥아회 3. 흥아회와 허루장, 황쭌셴의 관계 4. 『조선책략』저술의 의도 5. 『조선책략』과 아시아주의 6. 맺음말 제2장 량치차오와 아시아주의: 『대동합방신의』의 출판과 중화주의의 변용 1. 머리말 2. 다루이 도키치와 『대동합방론』 3. 대동역서국의 『대동합방신의』간행 4. 『대동합방신의』의 개정, 첨삭에 드러나는 동아(東亞) 인식 5. 맺음말: 개혁파와 아시아주의
제2부 1910~1920년대 공화혁명과 아시아주의 제1장 신해혁명 시기 쑨원의 아시아 인식 1. 머리말 2. 대일인식(對日認識), 한국문제, 중일연대론 3. ‘변방’ 이탈, 군사정벌론, 오족공화론 4. 맺음말 제2장 1920년대 쑨원의 대아시아주의 1. 머리말 2. 쑨원의 대아시아주의 강연과 약소민족에 대한 태도 3. 대아시아주의 강연에 대한 한국인들의 반응 4. 맺음말
제3부 1930~1940년대 중일전쟁 시기의 한국·아시아 인식 제1장 중일전쟁 시기 장제스·국민정부의 한국 인식과 대한정책(對韓政策) 1. 머리말 2. 한국광복군의 창설과 장세스·국민정부의 입장 3. 임시정부 승인문제와 장제스·국민정부의 태도 4. 임시정부 승인문제를 둘러싼 중미관계 5. 맺음말 제2장 카이로회담에서의 한국문제와 중국의 전후 아시아 구상 1. 머리말 2. 장제스·국민정부의 카이로회담 준비 과정과 한국문제 3. 카이로회담에서의 한국문제 논의와 장제스의 입장 4. 장제스·국민정부의 전후 대한정책과 아시아 구상 5. 맺음말 제3장 친일을 위한 아시아연대론: 왕징웨이의 아시아주의 1. 머리말 2. 쑨원 대아시아주의의 ‘계승’ 3. 대아시아주의와 동아연맹 4. ‘대동아전쟁’ 이후의 대아시아주의 5. 맺음말
나오는 말 참고문헌 중문제요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최후의 황제들 : 청 황실의 사회사2010 / 이블린 S. 로스키 [지음] ; 구범진 옮김 / 까치글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