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동북아 공동체에 대한 문화인류학적 논의로서 기존의 정치적.경제적 차원을 보충하면서 동시에 새로운 관점을 제공한 책. 1장 '동북아 공동체와 정치, 안보', 2장 '동북아 공동체와 경제', 3장 '동북아 공동체와 문화'로 구성되었다.
목차
머리말
서론
지역 공동체
동북아시아
토인비의 문명론
동북아시아 3국의 근세사 경험
일본의 근세사
한국의 근세사
중국의 근세사
동북아시아의 성장
연구 목적
필요성
방법론
문화 공동체론
제1장 동북아 공동체와 정치, 안보
1. 정상회담
한·중·일 정상회담
장관급 회의
6자회담
2. 아세안과의 협력
아세안
동아시아 지역 협력 공동선언
동아시아 비전 그룹
치앙마이 이니셔티브
한·중·일 협력에 관한 공동선언
아세안+1
아세안 공동체
동북아시아 협력체 추진
지역안보회의
아세안 지역안보 포럼
3. 정치 간담회
아시아 미래 포럼
아시아의 평화, 중·일 간담회
서울-베이징 포럼, 한·중 간담회
한·중·일 30인회
4. 지역 협력과 대화
동북아 지역 공동체 국제학술회의
동아시아 평화 공동체
동아시아 포럼
동북아시아 협력대화
아시아·태평양 안보협력이사회
대 테러 지역 센터
동아시아 기후 포럼
5. 환경 문제
환경오염 문제
교토의정서
환경협력 프로그램
6. 동북아시아의 안보 문제
한국의 위험
일본위협론
중국위협론
7. 3국 도서 영유권 문제
일본 북방 4개 섬 문제
한·일 독도 문제
중·일 조어도 문제
소결
제2장 동북아 공동체와 경제
1. 경제적 조건
영내 국가들
2. 경제협력 구상
동북아 경제권 협력방안
아시안 이코노믹 패널
후쿠오카 정상회의
아시아 개발 포럼
아시아 경제 공동체 포럼
3자 위원회
3. 지역협력
동해권경제연구회
일·소 연안시장회
환동해 지방정부 국제교류
환동해 거점도시회의
환동해 경제권
환황해 경제권
동북아 경제협력권
베세토 벨트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
4. 동남아시아와의 관계
중국과 아세안
일본과 아세안
한국의 중국 진출
5. 국지 경제권
화난 경제권
화둥 경제권
화베이 경제권
광시북부만 경제구
둥베이 3성 개발
6. 외세 충격
IMF 위기
미국발 경제 위기
7. 경제 공동체 방안
경제협력체
3국 FTA
한·일 FTA
한·중 FTA
영내 교역 문제
지역 은행
8. 한·중·일의 경제적 특성
정부 주도형
수출 지향적 경제구조
산업구조의 이동
과잉투자
소결
제3장 동북아 공동체와 문화
동양의 문명
1. 동북아시아의 역사
아시아의 두 고대 문화
성당 문화
동북아시아의 중세
군소 국가들의 문예부흥
중세 한국
중세 일본
2. 유교 문화권의 요건
유교의 4요소
유교 문화
한자 문화
율령제도
대승불교
3. 서구의 동침과 동북아시아 응전
서세동침
동북아시아 담론
변법자강운동
쑨원의 아시아주의
신중화민족주의
아시아 평화론
재진문명론
개화자강론
안중근의 동양평화론
일본의 아시아주의
대동단결론
대동합병론
절충론
아시아구화론
탈아입구론
동양의 먼로주의
단일 아시아론
동아연맹론
대동아공영권
4. 동북아시아의 근대화
근대국가 건설
산업화
근대화
5. 유교의 재발견
문명의 대화
철학대회
신유교 선언
유교의 재발견
아시아의 재인식
6. 문화 공동체 요소
현대 신유교
한자 문화
고전문학
민주주의
중산층의 형성
시민의식
신아시아주의
집단안보론
7. 문화 운동
유학생
문학
한류
스포츠
관광
8. 3국의 문제
민족주의
한·중·일 역사 문제
동북공정
한·중 원조 논쟁
역사의 공동 집필
소결
총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