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머리말
식용 작물 편
며느리와 이삭(벼)
우리나라에서 가장 중요한 농작물, 벼
여든여덟 번 사람의 손을 거쳐야 한다는 고단한 농사, 벼농사
밥 잘 짓는 방법
보리이삭에는 왜 보리알이 조금밖에 달려 있지 않을까?(보리)
쌀 다음으로 중요한 곡식, 보리
세상에 제일 넘기 힘든 고개, 보릿고개
밀가루를 뒤집어쓴 겁보(밀)
세계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는 곡식, 밀
맛있는 우리 밀가루 음식, 국수와 수제비
콩밥을 먹으면 힘이 세진다?(콩)
밭에서 나는 쇠고기, 콩
콩밥을 보고 이황은 왜 화를 냈을까?
도깨비들이 좋아하는 메밀묵(메밀)
서민들의 배를 채워 준 구황 작물, 메밀
도깨비는 왜 메밀묵을 좋아할까?
말하는 감자(감자)
가난한 사람들을 굶주림에서 구한 감자
감자가 유럽을 먹여 살렸다?
나그네에게 고구마를 대접한 어머니(고구마)
일본에서 들여온 대표적인 구황 작물, 고구마
고구마를 널리 퍼뜨린 사람들 이야기
팥죽고개(팥)
팥밥을 지을 때 주로 쓰는 팥
동짓날 쑤어 먹는 팥죽
원예 작물 편
고춧가루는 한자로 어떻게 쓸까?(고추)
우리나라 사람들이 제일 좋아하는 양념, 고추
매운맛을 내는 우리나라 고유의 조미 식품, 고추장
임진왜란이 후추 때문에 일어났다?
송아지를 무와 바꾼 농부(무)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즐겨 먹는 채소, 무
배추이면서 무라고 불리는 순무
남의 밭에 날아간 배추씨(배추)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가장 중요한 채소, 배추
한국인에게 가장 중요한 반찬, 김치
겨울철 저장 식품, 김장김치
상추쌈을 먹으면 상놈? (상추)
천금을 주어야 얻을 수 있었던 귀한 채소, 상추
원나라에 끌려간 고려 여인들이 고향을 생각하며 즐겼던 상추쌈
호박씨 닷 되(호박)
‘가을 보약’이라고 불리는 호박
눈물을 흘리며 호박죽을 먹은 정약용
마늘을 먹고 사람이 된 곰(마늘)
우리나라 거의 모든 음식에 양념으로 쓰이는 마늘
곰은 왜 마늘을 먹고 사람이 되었을까?
파를 먹고 얻은 평화(파)
각종 음식에 양념으로 쓰이는 파
파뿌리에 매달린 심술쟁이
특용 작물 편
인삼은 어떻게 해서 생겨났을까(인삼)
우리나라 특산 식물, 고려인삼
산신령이 주는 선물, 산삼
온 백성을 따뜻하게 입히는 꽃(목화)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비식용 작물, 목화
문익점은 목화씨를 붓두껍에 숨겨 들여왔다?
볶은 참깨를 밭에 심은 부부(참깨)
고소한 참깨
왜 “열려라, 참깨!”라고 주문을 외웠을까?
마법의 왕골 부채(왕골)
우리나라 특유의 공예 작물, 왕골
왕골로 만든 최고급 돗자리, 화문석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