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머리말
Part 1. 자산가가 되기 위한 사회학
부자가 될 수 있는 사람은 누구인가: 프로테스탄티즘 논리와 자본주의 정신
자산가는 왜 친구를 가려 사귀는가: 게마인샤프트와 게젤샤프트
지배의 메커니즘을 알지 못하면 성공은 없다: 지배의 정당성
대중사회를 철저하게 이해하라: 대중의 반역
최고의 지성인은 어떻게 변화를 예측하는가: 사회의 발전단계설과 이노베이션
Part 2. 흔들림 없이 돈을 벌기 위한 경제학
경제학은 왜 불확실한가: 케인스 경제, 고전파 경제, 마르크스 경제
빗나간 경제효과, 계산이 맞지 않는 경기예측: 모델화 수법
할인 행사만 기다리는 행동이 경제학적으로 의미가 없는 이유: GDP의 기초이론
회사원보다 자본가가 압도적으로 유리한 이유: 삼면등가의 법칙
화폐 과잉상태에서는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가: 피셔의 방정식과 화폐수량설
Part 3. 돈에 관한 센스를 익히기 위한 수학
수학적 센스란 상관관계를 간파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관관계와 인과관계
단순암기가 아니라 계산능력을 기르자: 딱 떨어지는 자릿수의 의미
금융공학을 이용하면 주가를 예상할 수 있다?: 랜덤워크 이론
쉽게 이해가 되지 않는 것도 이해할 수 있는 수학 사용법: 아이슈타인의 상대성이론
연역법의 귀재는 부자가 되기 쉽다: 연역법과 귀납법
Part 4. 돈 버는 뇌를 위한 정보공학
모두가 똑같이 하는 말은 의외로 옳다: 집단지성 이론
수평화되어가는 세계의 비즈니스에서 이기는 비결: 수평분업 이론
압도적으로 빠른 업무 처리 속도의 비밀: 참조의 국소성
인공지능 보급에 따른 수혜자: 기계학습 이론
동양철학에 빠진 실리콘밸리: 스즈키 다이세쓰의 불교이론
Part 5. 인간과 수익의 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철학
부자는 타고나는 것이다?: 유물론과 관념론
세계에서 성공하는 구조, 지역 경제에서 실패하는 구조: 구조주의와 패러다임론
지적 허세가 있는 사람이 돈을 번다: 실존주의
부자는 왜 브랜드를 과시하는가: 기호론
자수성가형 부자는 새로움을 좋아한다: 실용주의
Part 6. 부의 동향과 미래를 내다보기 위한 역사학
로마를 알면 모든 것을 알 수 있다: 스타워즈와 로마제국
권력에 접근하는 자의 말로: 오스만 제국의 예니체리
차별문제까지 해결하는 돈의 위력: 미국의 인종문제와 감춰진 종교역사
역사관을 통해 보는 일본전쟁과 경제: 영일동맹과 미일동맹
중국은 왜 아낌없이 돈을 쓰는가: 책봉체제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