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장 전후 일본 공해사론의 목적과 구성
제1절 역사적 교훈
제2절 일본 공해사론의 방법과 구성
제1부 전후 공해문제의 역사적 전개
제1장 전후 부흥과 환경문제
제1절 전후 부흥기(1945~59년)의 경제와 정치
제2절 본원적 공해문제의 발생 - 1950년대의 공해문제
제3절 대도시의 공해
제4절 공해대책
제5절 전형적인 공해
제2장 고도경제성장과 공해문제
제1절 국민적 사회병
제2절 공해의 정치·경제시스템
제3절 공해대책의 시작
제4절 지역개발과 공해
제3장 공해대책의 전개
제1절 공해반대운동
제2절 공해대책기본법 - 조화론과 수인한도론을 둘러싼 대립
제3절 혁신지자체와 환경권
제4절 공해국회와 환경청의 창설
제4장 4대 공해재판
제1절 공해재판 창조
제2절 이타이이타이병 판례
제3절 니가타미나마타병 재판
제4절 욧카이치 공해재판
제5절 구마모토미나마타병 재판
보론 고치 펄프 생콘크리트 투입 사건 형사소송
제5장 공공사업 공해와 재판
제1절 공공성과 환경권
제2절 오사카공항 공해재판
제3절 국도43호선·한신고속도로 공해재판
제4절 도카이도 신칸센 공해재판
제6장 공해대책의 성과와 평가
제1절 공해건강피해보상법
제2절 스톡공해와 오염자부담원칙 - 공해방지사업비, 사업자부담제도 등
제3절 공해대책의 성과와 평가
제2부 공해에서 환경문제로
제7장 전후 경제체제의 변화와 환경정책
제1절 고도경제성장의 종언과 정치·경제의 동태
제2절 환경정책의 일진일퇴
제3절 환경보전운동의 새 국면
제8장 환경문제의 국제화
제1절 다국적기업과 환경문제
제2절 아시아의 환경문제와 일본의 책임
제3절 오키나와의 환경문제
제4절 유엔환경개발회의를 둘러싸고
제9장 공해대책의 전환과 환경재생
제1절 공해건강피해보상법 전면개정
제2절 환경기본법의 의의와 문제점
제3절 ‘공해와 싸우는 환경재생의 꿈을’ - 공해반대 주민운동의 도달점
제10장 공해는 끝나지 않았다-보론
제1절 미나마타병문제의 해결을 요구하며
제2절 끝없는 석면재해
제3절 후쿠시마 원전사고 - ‘역사의 교훈’이 왜 무시됐는가
종장 유지가능한 사회
제1절 시스템개혁의 정치경제학
제2절 주변부터 유지가능한 사회를
후기 역사는 미래의 이정표
<전후 일본공해사 연표>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