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일그러진 시대의 화두
제1장 미국 ‘경제민주화’의 허상과 실패
1. ‘경영자본주의’ 재평가
2. 경영자본주의 비판과 ‘대기업 개혁 4자 동맹’
3. ‘주주민주주의’와 ‘기관투자자 행동주의’
따로 읽기 1 금융 테러리스트들의 승리
4. 주주가치 극대화의 새 시대
제2장 한국 ‘경제민주화’의 허상과 실패
1. 1990년대 한국경제의 재평가
2. 1997년 외환위기와 ‘반재벌 3자 동맹’
따로 읽기 2 주식과 후식 따로 평가해야: IMF자금지원과 IMF프로그램은 다르다
따로 읽기 3 ‘장하성 펀드’와 그 ‘성과’
따로 읽기 4 비국제적ㆍ비역사적 적반하장 순환출자 금지론
3. ‘돈 빨아가는 주식시장’과 투자ㆍ고용ㆍ분배의 악화
4 연목구어 경제민주화 추가법안들
제3장 새 패러다임을 향하여: 한국경제의 ‘허리 키우기’
1. 대안 마련의 출발점들
2. 한국 기업권력지형 분석
3. 재벌: 재단을 통한 승계 허용과 ‘투자ㆍ고용ㆍ분배’의 과업
따로 읽기 5 ‘부의 세습’, 왜 죄악시하나
따로 읽기 6 “주주에 대한 보상은 맨 마지막으로 신경 쓸 일”
따로 읽기 7 발렌베리 가문의 장기투자와 사회공헌
4 기관투자자: 주주가 아니라 주관재인
5. 중견-중소기업을 위한 산업금융시스템 구축
따로 읽기 8 창업에 대한 환상이 불러온 비극
제4장 ‘정서법’ 내려놓고 대안을 얘기하자
‘정서법’에 영합한 “세계에서 제일 불평등한 나라” 괴담
“사실은 이미 이론이다”
‘정서법’으로 이익을 보는 세력
건설적 대안을 위한 최소 공통분모: 중산층 만들기
중견-중소기업들의 ‘사다리 올라가기’ 산업금융시스템
상생의 ‘2부 리그’ 기업들
장기투자 북돋우기: 기업과 금융투자자 간의 수평적 관계
비관주의를 극복하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