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중동 지역의 정치에 관한 이제까지의 해석은 종교의 연장선에서 이해되거나 근시안적으로 시비를 판단하려는 경향이 강했다. 아랍 연구의 제일선에서 활약하고 있는 일본의 신진 연구자들은 이와 같은 '허상'을 뛰어넘어, 각국 정치의 '실상'에 다가가 그 혼란의 핵심을 짚어내 규명한다.
목차
옮긴이의 글 한국어판 서문
머리말: ‘혼돈의 도미노’에 허덕이는 ‘아랍의 심장’ / 아오야마 히로유키
제1장 이집트: 두 가지 ‘혁명’이 불러온 허상의 재고 / 요코타 다카유키 1. 시작하며: 두 가지 혁명 2. 1월 25일 혁명: 권위주의 체제의 붕괴 3. 군에 의한 잠정통치의 주요 정치 주체: 변화하는 주역 4. ‘제2의 혁명’인가, ‘혁명’이라는 이름의 쿠데타인가? 5. 마치며: ‘혁명’은 이집트에 무엇을 가져왔는가?
제2장 시리아: ‘진짜 전쟁 상태’가 필요한 ‘독재 정권’ / 다카오카 유타카 1. 시작하며: 아사드 대통령의 3선 2. ‘중동의 활단층’의 이용 가치 3. ‘내전’에서 ‘진짜 전쟁 상태’로: 화학무기 사용 사건을 둘러싼 패러다임 전환 4. ‘21세기 최악의 인도적 위기’의 허상과 실상: ISIS와 ‘테러와의 전쟁’의 파탄 5. 마치며: 허상을 넘어서
제3장 이라크: 민주화의 차질과 종파 대립이라는 망령 / 야마오 다이 1. 시작하며: 폭력이 불러온 종파 대립 2. 모술 함락 3. ‘인공 국가’와 권위주의 체제 4. 민주주의의 교착과 격화되는 정치 대립 5. 국가 건설의 실상 6. 마치며: 허상은 실체화되는가?
제4장 레바논: ‘결정하지 않는 정치’가 지탱하는 연약한 자유와 평화 / 스에치카 고타 1. 시작하며: 레바논의 자유와 평화의 성립을 생각한다 2. 종파제도의 빛과 그림자 3. 레바논의 ‘백향목 혁명’과 그 후 차질을 빚은 민주화 4. 내전 재발을 피하기 위한 ‘합의’ 5. 마치며: 자유와 평화의 균형점 찾기
제5장 요르단: 분쟁의 피해자인가 수혜자인가 / 깃카와 다쿠로 1. 시작하며: 쓰러지지 않는 국가 2. 요르단의 ‘위기’를 둘러싼 허상 3. 역사와 사회: 위기에 강한 국가의 형성 4. 실상으로의 접근 5. 마치며: 실리적인 완충 국가의 딜레마
제6장 팔레스타인: 하마스에 대한 부정이 일으킨 정치적 혼란 / 니시키다 아이코 1. 시작하며: 반복되는 폭력을 이해하기 위하여 2. 팔레스타인·이스라엘 분쟁과 정치 구도 3. ‘아랍의 봄’에 농락당한 팔레스타인 4. 통일 내각에서 가자 전쟁으로 5. 마치며: 변화하는 분쟁의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