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겔의 3대 저서 가운데 하나로 꼽히는 '법철학'에 대한 해설서로, '법철학'의 전체방향을 가늠할 수 있는 <서문>과 <서론>만을 해설하며, 한국 헤겔학회 부회장 및 편집위원이자 전북대학교 철학과 교수인 백훈승 교수가 집필하였다.
목차
들어가는 말
Ⅰ. 예비적 고찰 : 헤겔 『법철학』의 개괄적 설명 1. 『법철학』의 성립과정 및 역사적 배경 2. 『법철학』의 내용과 구성 2.1. 전체의 구성 2.2. 각 절(節, Paragraph)의 구성
Ⅱ. 해설 : <서문>과 <서론> 1. 서문[Vorrede] 2. 서론[Einleitung]: 법철학 개념, 의지·자유·법(권리) 개념 2.1. 철학적 법학 : §§ 1-4 §1 『법철학』의 대상 : 개념, 실현, 이념 §2 『법철학』의 전제들 : 실증법학에서의 정의들. ‘형식적’ 학문과 철학적 학문에서의 개념들의 정의. ‘의식의 사실’로부터 곧바로 법이론을 정초함. 방법론으로서의 철학적 논리 학 §3 자연법과 실정법 : 실정법의 비이성적주의적인 평가절하에 반대함. 철학적 법이론의 한계. 자연법과 실정법은 대립하지 않는다. 법의 역사성. 법에 대한 역사적인 설명과 철학적인 개념적 파악. 이 구별에 주의하지 않을 때 일어나는 혼란. 구스타프 후고에 반대함 §4 법의 토대로서의 자유 : 의지의 자유를 증명하기 위한 시도. 의지의 자유의 철학 적 증명. §§5 ff.에서 진술되는 분석의 기초로서의 내성(內省) 2.2. 의지 개념 : §§5-9 2.2.1. 의지 일반 : §§5-7 §5 보편성 : 사유와 의지는 대립하지 않는다. 소극적 자유, 소극적 자유의 역사적 현상들 §6 특수성 : 부정성으로서의 규정. 첫 번째 계기로부터의 두 번째 계기의 출현. 피히테에 있어서의 이 두 계기의 서술. 피히테를 넘어선 헤겔의 진전 §7 개별성 : 보편성과 특수성의 통일. 사변적인 것으로서의 제3의 계기. 자신을 자신 속으로 매개하는 활동으로서의 의지 2.2.2. 의지의 규정성 : 활동으로서의 의지 : §§8-9 §8 주관적인 것과 객관적인 것의 매개로서의 활동 §9 표상된 목적과 실현된 목적 3. 즉자대자적으로 자유로운 의지의 추상적 개념 : §§10-24 §10 즉자존재 혹은 우리에 대한 존재, 그리고 즉자대자적 존재 : 설명 3.1. 자연적 의지 : §§11-13 §11 충동, 욕망, 경향 : 경험적 심리학과 철학적 심리학 §12 결단[Beschließen] : 결단과 결심[Beschließen und Sich-entschließen] §13 결단하는 의지의[des beschließenden Willens] 유한성 : 사유의 보편성과 의지 의 개별성 3.2. 반성하는 의지 : §§14-20 §14 선택하는 의지 §15 자의(恣意)로서의 자유 : 자연적 의지와 즉자대자적으로 자유로운 의지의 매개로서 의 반성하는 의지. 반성철학에 있어서의 자유문제 §16 반성하는 의지의 유한성 §17 충동의 변증법 §18 반성에서의 충동에 대한 긍정적 및 부정적 평가 §19 충동의 체계학[Systematik]이 지니는 과제. 정치철학에서의 충동의 체계학 §20 행복 3.3. 즉자대자적으로 자유로운 의지 : §§21-24 §21 자유의 이념 : 자기를 의식하는 의지의 세 단계. 의지 속에서 관철되는 사유. 법의 원리 §22 현실적 무한자로서의 자유의지 : 자유의 소질. 지성의 무한성 §23 자기-자신-곁에-존재함 및 진리로서의 자유의지 §24 자유의지의 보편성 : 즉자대자적인 보편성. 이성적인 것으로서의 즉자대자적 보편자 4. 추상적인 자유이념의 전개 : §§25-33 §25 의지의 주관성(주체성) §26 의지의 객관성 : 반성규정의 변증적 본성. 의지의 규정들에의 적용 §27 자유로운 정신의 절대적 규정 §28 체계의 총체성으로서의 자유의 이념 §29 자유의 현존재로서의 법 일반 : 칸트의 법이론 §30 자유 이념의 발전단계 : 설명 §31 발전의 변증적 방법 : 변증법 §32 형태화의 계열로서의 의지의 규정들 : 체계적·사변적 및 시간적·역사적 발전 §33 구분 : 이 구분의 원리. 도덕과 인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