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민속원 아르케북스 55권. 종묘의례 이외의 조선시대 국가의례로 실천되었던 문소전 의례, 영희전 의례, 칠궁 의례, 덕흥대원군묘 의례, 세자묘 의례들의 생성동인과 변화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다양한 왕실 조상신의 실재를 확인하고, 조선시대 종교문화의 다양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목차
서문
제1장 서론
제2장 왕실조상신의 이중적 모델: 이념적 모델과 정서적 모델
제3장 정서적 왕실 조상신 의례의 생성동인과 과정
1. 생성동인
2. 의례화의 세 단계: 情祀-準正祀·準淫祀-正祀
제4장 문소전 의례
1. 조선 초기 원묘 의례의 변화
2. 친친지의親親之義의 구현과 생물학적 보본반시의 계보
3. 문소전으로의 통합과 의례의 형성
제5장 영희전 의례
1. 사친추숭私親追崇과 숭은전崇恩殿의 건립
2. 영희전으로의 진전의 확장
3. 영희전 의례와 (비)왕통 생부 조상신
제6장 칠궁 의례
1. 모이자귀母以子貴의 명분
2. 정례情禮에서 정례正禮로의 전환
3. 칠궁 의례와 왕의 행궁
4. 후궁 생모 조상신의 생성과 위격
제7장 덕흥대원군묘 의례
1. 소생지은所生之恩의 명분
2. 가묘家廟에서 덕흥대원군묘로의 변화
3. 사묘전배의례私廟展拜儀禮의 표본
제8장 세자묘 의례
1. 애통지지정哀痛之至情에서 효孝로의 변화
2. 세자묘의 특성과 친진親盡의 원칙
3. 세자묘 의례의 위격과 무후자無後者 왕실 조상신
제9장 결론
Abstract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