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禪, 초기불교와 포스트모더니즘 너머 = Seon, beyond early buddism and postmodernism
발행연도 - 2016 / 지음: 송준영 / 소명출판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1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374107
-
ISBN
9791159050473
-
형태
387 p. 24 cm
-
한국십진분류
종교
>
불교
>
종파
-
카테고리분류
에세이/시/희곡
>
에세이
>
한국에세이
책소개
불교의 선과 선시를 현대적인 관점에서 풀어낸 책이다. 저자가 창안한 선시의 적기수사법은 한문으로 된 고전선시가 오늘날 한글화된 현대선시로 어떻게 계승되며, 그 사상적인 흐름이 어떻게 이어지는가를 구체적으로 살필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한다.
목차
자서
제1부 왜 禪詩이고 禪인가?
제1장 선시의 개념정의와 선시의 발전
질문 1. 선시의 정의 분류
질문 2. 선과 시의 관계와 선시의 미학
질문 3. 선시와 다다이즘, 쉬르리얼리즘, 포스트모더니즘 시의 차이점
질문 4. 선시의 사상적 배경과 수사법
질문 5. 현대인과 선, 선시
제2장 선의 연원과 역사적 발전
질문 1. 명상법과 선
질문 2. 선종의 발전
질문 3. 조사선의 계보
질문 4. 한국의 선종
질문 5. 간화선과 묵조선의 관계
질문 6. 돈오돈수와 돈오점수/보조와 성철의 사상 전개와 선문염송
제2부 선과 포스트모더니즘의 회통
제1장 선과 쟈크 데리다 해체론에 대한 현대적 탐색
1. 긍정적인 성과에 대한 견해선과 쟈크 데리다(본문)
2. 토론자의 부정적 질의
3. 결론
제2장 『십현담』과 주해시 읽기
1. 선시의 백미, 『십현담과 그 주해시 갖추어 읽기 (1)
2. 『십현담』과 그 주해시 갖추어 읽기 (2)
3. 『십현담』과 그 주해시 갖추어 읽기 (3)
이만식의 「고전선시와 현대선시-십현담을 중심으로」를 읽고
4. 총결:낙수록-누가 있어 코끼리를 보는가.
제3부 도적아 도적아
제1장 동암 스님의 선과 선시
1. 전문
2. 동암 스님에 대한 회상
3. 동암 성수 선사의 행장
제2장 만공 스님과 서옹 선사의 선시
1. 꿈속 만공 스님의 회상에서
2. 선법사 서옹 상순 화상
제3장 선종의 선맥보와 선맥도
1. 선종의 선맥보
2. 선종의 선맥도
찾아보기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1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1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