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 개신교와 정치 : 개신교 정교 분리 원칙의 변용 과정
발행연도 - 2016 / 김용민 지음 / 소명
-
도서관
청라국제도서관
-
자료실
[청라국제]종합자료실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CI0000020124
-
ISBN
9791159050848
-
형태
293p. 23cm
-
한국십진분류
종교
>
기독교
>
전도, 교육, 교화활동, 목회학
-
카테고리분류
종교
>
기독교
>
신학
책소개
저자는 로마서 13장이 저작된 기원후 55년부터 중세 교부와 근대 이후 종교개혁자의 '국가와 종교'에 관해 먼저 살펴보고, 본격적으로 한국 천주교 전래시점부터 현재까지의 근현대사와 개신교의 긴장, 협력, 예속, 갈등의 관계사를 통시적으로 전개한다.
목차
책머리에
1장 | 한국 근현대사 속의 개신교
한국 개신교의 전래와 정착
한국 개신교 역사가 남긴 숙제들
2장 | 정치 참여의 시작과 흐름
로마서 13장 해석으로 본 국가관 논쟁
두 왕국론과 중세 이후 정치 참여 논쟁
근본주의 신학과 한국적 개신교의 근대
3장 | 국권상실기 정치 권력과 기독교
박해와 친화로 양극화한 신구교의 전래
일본과 미국 개신교 선교부의 협력과 갈등
신사참배 찬반 논란과 교회의 국가관
4장 | 신사참배 거부 개신교 신자의 사회 참여 정신—주기철 목사를 다시 생각한다
주기철 목사와 ‘출옥 성도’
일제 신사참배의 강화와 한국 개신교
3․1운동 이후 정치․사회 현실에 대한 주기철의 입장
수난 국면에서 신사참배 반대의 사상적 배경
출옥 성도의 신사참배 거부 동기와 정치의식
개신교의 탈정치화 흐름
순교인가 순국인가
5장 | 분단 및 전쟁기 개신교의 좌표
해방기 국가와 종교의 관계
6․25 한국전쟁과 반공주의
이승만과 종교 간 협력 및 갈등 관계
6장 | 산업화 시기 보수 진보 개신교계의 형성
보수 개신교의 국가주의 노선
민주화운동과 진보 개신교
복음주의와 민중신학의 형성 과정
7장 | 신보수주의 시대 교회가 가야 할 길
보수 교회의 현실 정치 참여
대안교회 운동과 진보 개신교의 활로
8장 | 화해와 일치-한국 교회의 성숙을 위하여
참고문헌
찾아보기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1 |
30대 | 0 |
40대 | 1 |
50대 | 1 |
60대 | 1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2 |
2018년 | 0 |
2019년 | 1 |
2020년 | 1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