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장 무대와 텍스트
1. 구멍 뚫린 텍스트와 상상적 무대
2. 커뮤니케이션 행위로서의 무대
3. 공연의 기호학을 위하여
4. 텍스트로서의 공연
5. 기호학적 분석 층위들
6. 범주들
7. 퍼포먼스와 허구: 지시 대상의 위상
8. 연극 기호의 투명성-불투명성
제2장 연극 공간과 무대 디자이너
1. 몇 가지 정의: 연극 공간과 비(非)-연극 공간
2. 연극 공간의 형태들
3. 모방
4. 공간과 놀이
5. 텍스트로서의 공간 또는 무대 디자이너의 작업
6. 복수 공간
7. 현대 공연에서의 공간
제3장 연극 오브제
1. 무대와 오브제
2. 연극 오브제의 미학
3. 연극 오브제의 의미
4. 오브제의 발화 행위
5. 오브제의 통사론
6. 무대 오브제의 통합체
제4장 배우의 작업
1. 배우와 배우가 만들어내는 기호들
2. 선결되어야 할 문제들
3. 배우와 허구
4. 등장인물의 구성
5. 배우와 담화의 발화 행위
6. 배우의 담화: 몸짓
7. 배우의 구술적 파롤
8. 표정 연기
9. 총체로서의 배우
10. 잡을 수 없는 것
제5장 연극의 시간
1. 시간의 마에스트로
2. 리듬과 체험된 지속 시간
3. 허구의 시간
4. 지시 작용
5. 기호의 기억
6. 시퀀스들
제6장 연출가와 공연
1. 작업 단계들
2. 재판관과 거울
3. 연출가와 다양한 공연 양식들
제7장 관객의 작업
1. 관객의 역할
2. 관객의 위치
3. 부인 작용
4. 의미의 산출자
제8장 관객의 즐거움
1. 즐거움의 기호학적 구성을 위하여
2. 고안의 즐거움
3. 나는 타인이다 혹은 여행의 즐거움
4. 위반의 즐거움
5. 전체로서의 즐거움
6. 즐거움의 한계
참고문헌
해제
옮긴이 후기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