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신광현 교수의 성품과 관심을 일목요연하게 대변하는 짧은 수필과 영문학, 문학이론, 문화이론, 사회이론, 번역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친 글들은 영문학계뿐 아니라 인문사회 전공자들이라면 누구나 읽어봄 직한 진지한 탐구의 기록이 될 것이다.
목차
발간에 부쳐
주체 여매화위우(與梅花爲友) 「철회」의 알레고리와 알레고리의 철회 중세의 고해성사와 주체의 구성: 『마저리 켐프』의 경우 시간/주체/언어: 폴 드 만의 「시간성의 수사」 시선과 영화: 로라 멀비의 「시각적 쾌락과 서사 영화」를 중심으로 지식의 무의식: 지식과 주체의 관계에 관한 성찰로서의 교양교육
언어 미음 소고 ‘으’가 그린 세상 번역과 탈식민: 김진섭의 『번역과 문화』에 나타나는 수사적 전략 읽기 폴 드 만의 비유 읽기 문학 비평의 주어 ‘징후 읽기’와 읽기의 징후화: 알튀세르의 『「자본론」 읽기』를 중심으로 대학의 담론으로서의 논문: 형식의 합리성에 대한 비판
총체성 얼빛 환한 세상 덧없음에 덧칠하기 총체성과 문화연구의 미래: 프레드릭 제임슨의 주제에 의한 변주 ‘텍스트의 무의식’: 프레드릭 제임슨의 경우 문화연구론의 이론적 입지와 문학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이스트호프의 『문학에서 문화연구로』를 중심으로 문화연구의 흐름과 스튜어트 홀: ‘헤게모니’ 이론과 ‘절합국면 분석’을 중심으로 인문학이 여는 지구화 시대
부록: 김진섭, 「번역과 문화」, 『조선중앙일보』 논문 출전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아마겟돈을 회상하며2019 / 지음: 커트 보니것 ; 옮김: 이원열 / 문학동네
어느 작가의 오후 2023 / 지음: F. 스콧 피츠제럴드 ; 엮음: 무라카미 하루키 / 인플루엔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