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우리 현대 시의 역사에서 큰 비중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 대중적으로 친숙하게 널리 알려진 20세기 초반의 시들을 대상으로 시어의 해석 문제를 다루었다. 대상이 되는 시인은 백석, 김소월, 정지용, 김영랑, 이육사, 한용운, 김억 등이다.
목차
머리말
∥백석∥
백석 시의 시간 어휘
- 및게, 따디기, 나줏손, 낫대
백석 시의 고어 및 공간 어휘
- 산멍에, 산녑, 은댕이, 예데가리밭
백석 시의 전통 어휘
- 골갯논드렁, 청눙
고어를 이용한 백석 시의 어휘 몇 가지에 대한 검토
북한의 문화어를 중심으로 한 백석 시의 어휘 몇 가지에 대한 검토
∥김소월∥
소월 시어의 중의성
- 스러지다
왜곡된 소월의 시어
- 한긋
소월 시에 등장하는 ‘빗기다’의 의미 연구
∥정지용∥
지용 시의 동음이의어
- 닥다, 옴짓 아니 긔다, 한양
지용 시의 고어
- 삐우다, 니치대다, 키이다
∥김영랑∥
영랑 시의 형용사
- 애끈하다, 애닯다
왜곡된 영랑의 시어
- 기혀, 호동글, 송긔한
영랑 시의 고어
- 그리매, 예사, 달는다
영랑의 시어 ‘사개틀닌’에 대하여
영랑의 시어 ‘제우다’에 대하여
∥이육사∥
육사 시의 띄어쓰기 문제
- 마을 이 한구죽죽한
육사 시의 원전 문제
- 못이즐 게집애 집조차 업다기에
육사 시의 인명
- 공명이 마다곤들
육사 시의 방언
- 가루어서
∥한용운∥
만해 시의 방언 1
- 목마치다
만해 시의 방언 2
- 싯분우슴
만해 시어의 구조
- 사릿드리고
∥김억∥
안서 시의 표기
- 읽어지다
안서 시어의 시대성 1
- 맘하다
안서 시어의 시대성 2
- 바이없다
안서와 소월의 시어 비교
- 빗기다
이 책에 수록된 글의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