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출인기
또 다른 중화, 대만 : 대만의 민주주의와 정당정치 연구
발행연도 - 2015 / 지은주 지음 / 김영사
-
도서관
영종하늘도서관
-
자료실
[영종하늘]종합자료실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YS0000016781
-
ISBN
9788934970521
-
형태
384p. 22cm
-
한국십진분류
사회과학
>
정치학
>
-
카테고리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
>
각국정치
책소개
초일류 강대국으로 성장한 중국과 대등한 관계를 유지하며 국제사회에서 입지를 다져나가고 있는 대만. 이런 대만을 강력하게 이끌어가고 있는 정부와 국민의 저력을 살펴본다! 민주화 이후 대만 정당체제는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징은 무엇인가?
목차
들어가는 말
서론
제1장 선거전쟁
1 2012년 대만의 대선과 총선
‘지구촌 대선의 해’ 첫 대선과 총선
2012년 선거의 주요 과정
총선 경쟁에서의 주요 쟁점
선거 결과
2 정체성과 경제적 이익: 엘리트의 선택
경제이슈, 정당재편성을 가져올 것인가
정당재편성 이론과 정당 경쟁이슈
정당의 경쟁이슈 변화와 경제이슈 동원
정당재편성 이슈로서 경제이슈의 한계
경제이슈, 정당재편성 그리고 중국요소
3 정체성과 경제적 이익: 유권자의 선택
대만 유권자가 본 경제이슈
유권자는 무엇으로 투표하는가
민진당 집권기의 경제현황과 정체성, 정당경쟁
대만 유권자는 무엇으로 투표했는가
경제적 이익과 정체성의 선거 정치적 효과
경제이슈와 국가적 정체성
제2장 중국과의 관계: 통일 혹은 독립
1 미국의 대만 보호와 동북아 평화질서
양안교류와 안보위기
안보적 딜레마와 대만의 선택
대만의 정권별 대중국 경제 전략
안보관과 통일관의 차이와 차별적 대응
2 ECFA와 소득불평등
세계화와 대만의 경제개방
경제개방과 소득불평등
대만의 경제개방과 소득불평등
경제개방 확대에 대한 인식
소득불평등 개선을 위한 정부의 역할
정부의 대응과 소득불평등의 개선
3 경제성장인가 민족주권인가
군사력 사용의 한계와 소프트 파워
소프트 파워로서 중국의 대만에 대한 경제정책
양안 경제교류와 대만인들의 중국에 대한 인식 변화
소프트 파워로서 중국의 경제정책 효과
중국의 경제적 접근의 효과성 분석
소프트 파워의 한계와 국가적 정체성
제3장 새로운 일당독재의 출현인가
1 선거제도, 누구를 위한 개혁인가
2005년 선거제도의 개혁
선거제도 개혁의 정치
대만의 선거제도 개혁 과정
새로운 선거제도와 2008년, 2012년의 입법원 선거
민진당의 잘못된 계산과 국민당의 승리
2 생존을 위한 국민당의 변화
변화된 유권자와 국민당의 변화
정당진화 과정에서 정당지도자의 역할
민주화 이후의 사회적 변화와 국민당의 적응 전략
정치지형과 정당리더십의 변화
정당이데올로기와 정당리더십
3 인터넷과 정당정치, 그리고 사회적 자본
인터넷의 보급과 정당정치의 변화
기술과 정당정치, 그리고 정치적 참여
인터넷을 이용한 정당과 시민의 정치적 활동
대만의 사회적 자본의 측정과 분석
정당의 역할과 시민참여의 한계
제4장 닮은 듯 다른 한국과 대만의 정치
1 신생 민주주의의 과거청산: 5ㆍ18과 2ㆍ28의 성공과 실패
국가폭력과 민주주의의 과거청산
신생 민주주의 과거청산의 정치적 동학
국가폭력과 집단 정체성
5ㆍ18항쟁과 2ㆍ28사건의 과거청산
미완의 과제 2ㆍ28사건의 과거청산
2 대만 노동정당의 좌절
민주화와 노동정당의 제도권 진입
정당경쟁과 틈새정당의 생존
노동세력의 성장과 주류정당의 대응 전략
노동계급 정당의 성공과 실패
참고 문헌
참고 사이트
찾아보기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2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1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1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