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지은이의 말
옮긴이의 말
Chapter 1 웹 서비스에서 인프라의 역할
1.1 웹 서비스 구축에 관련된 인프라 영역
1.2 인프라의 요건 정의에서 운용까지의 주의점
1.3 인프라 설계 시의 주의점
1.4 RAS 검토하기
Chapter 2 인프라 기술의 기초 지식
2.1 인터넷이라는 거대한 네트워크
2.2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 구조
2.3 URL을 분석해보자
2.4 프로토콜의 내부 들여다보기
2.5 네트워크 보안 이야기
2.6 인프라 요소의 스펙을 읽는 방법과 선택 방법
2.7 성능과 데이터에 관한 기초 지식
2.8 다중화의 구조
2.9 암호화와 해시화
Chapter 3 웹 서비스 서버 구성의 모범 사례
3.1 기본적인 구성
3.2 부하 분산(로드밸런싱)의 기초 지식
Chapter 4 인프라 준비의 기초 지식
4.1 인프라를 준비할 때 무엇부터 결정할 것인가?
4.2 인턴세 회선의 용량 계산
4.3 서버 대수의 용량 계산
4.4 이용할 클라우드 기반 선정하기
4.5 인프라 구축 후 확인해야 하는 것
4.6 백업
Chapter 5 웹 서비스 운용 1 : 시스템 감시의 기본
5.1 시스템 감시의 개론
5.2 시스템 감시의 구현
5.3 장애가 발생했을 때의 대응 방법
5.4 대규모 장애 발생 시의 대응
5.5 항상 발생하는 장애의 관리와 리뷰
Chapter 6 웹 서비스 운용 2 : 상태 모니터링
6.1 상태 모니터링의 기초 지식
6.2 상태 모니터링 데이터를 읽는 방법 - OS
6.3 상태 모니터링 데이터를 읽는 방법 - MySQL
6.4 실시간 모니터링의 방법
6.5 트러블 대응에 사용하는 모니터링 툴
Chapter 7 웹 서비스 튜닝 1 : 보틀넥을 찾는 방법
7.1 용량의 검토 방법과 용량의 향상
7.2 시스템 튜닝의 철칙
7.3 보틀넥을 찾는 방법 - 기초
7.4 보틀넥을 찾는 방법 - 로그
7.5 보틀넥을 찾는 방법 - 서버 리소스
7.6 보틀넥을 찾는 방법 - 애플리케이션 코드
Chapter 8 웹 서비스 튜닝 2 : 튜닝 레시피
8.1 포인트별 튜닝 레시피
8.2 SQL 튜닝에서의 고속화
8.3 시스템 구성의 변경 시 보틀넥 대책의 기초
8.4 [DB] 스케일 아웃 구현의 예
8.5 기능 분할 구현의 예
8.6 캐시 적용에서의 고속화
마치며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