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조선대학교 인문학총서 6권. 1923년 중국에서 벌어진 '과학과 형이상학 논쟁'은 인생.사회.자연.우주 등 세계관 전반에 관한 논쟁이었다. 또 당시 중국의 대표적 지식인이 대거 참여한 논쟁이었다. 철학사나 사상사 측면뿐만 아니라 정치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논쟁이라고 할 수 있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머리말
일러두기

Ⅰ. 1923년 과학과 형이상학 논쟁
1. 과학과 형이상학 논쟁
2. 주요 주제와 구성

Ⅱ. 과학과 사회적 가치의 관계: 과학과 형이상학 논쟁의 출발점
1. 가치와 사실 문제의 핵심
2. 과학과 형이상학 논쟁의 배경: 과학만능주의 파산론
3. 장쥔마이(張君勱)와 딩원장(丁文江)의 논쟁: 주관적ㆍ개인적 가치와 가치의 사회성ㆍ객관성 문제
4. 소결론

Ⅲ. 개인적ㆍ주관적 가치의 사회적 가치로의 전환 가능성: 형이상학파(玄學派)의 주장
1. 주관적 심리작용과 양심의 보편성
2. 대인격(大人格) 실현 과정 안에 있는 소인격(小人格)
3. 윤리규범 문제에서 주관적 형식의 보편타당성
4. 소결론

Ⅳ. 사실로부터 가치 도출의 문제: 과학파와 유물사관파의 입장
1. 모든 현상에 실재하는 과학 방법의 원리: 인과(因果)와 제일(齊一)
2. 과학적 우주론으로 환원 가능한 가치: 재질(質)과 힘(力)
3. 물질적 원인에서 비롯된 가치와 그 내용: 유물사관
4. 소결론

Ⅴ. 과학과 형이상학 논쟁 안의 세 가지 논쟁
1. 인식론 논쟁
가. 딩원장(丁文江)의 과학적 인식론: 경험주의적 인식론
나. 과학적 인식론에 대한 장쥔마이(張君勱)의 비판: 선험주의적 인식론
2. 가치의 주관성/객관성 논쟁
가. 사랑과 아름다움의 주관성/객관성 논쟁
나. 윤리규범의 주관성/객관성 논쟁
3. 과학파와 유물사관파 사이의 논쟁
가. 사회의 변동과 사회적 가치를 결정하는 객관적 원인
나. 과학과 형이상학 논쟁의 핵심 문제
4. 소결론

Ⅵ. 과학과 형이상학 논쟁과 유교사상
1. 장쥔마이(張君勱)가 언급한 ‘송학’(宋學)의 성격: 양명학(陽明學)
가. 송학에 대한 장쥔마이(張君勱)와 딩원장(丁文江)의 논쟁 내용
나. 장쥔마이(張君勱)가 주장한 송학의 특징
다. 장쥔마이(張君勱)의 양명학 주창 원인
2. 주자학과 과학파: 과학파의 보편적 가치 내용 부재
가. 딩원장(丁文江)의 주장과 주자학의 특징
A. 지식론의 최종 근거: 경험
B. 딩원장(丁文江) 주장의 ‘결함’: 법칙 발견의 필연성 결여
나. 왕싱공(王星拱)의 원리 실재론과 주자학의 이치(理)
다. 우즈후이(吳稚暉)의 우주론과 주자학의 우주론
3. 주자학과 유물사관: 사회적 가치 내용의 근거로서 사실의 원리
가. 유물사관파와 과학파의 차이점
나. 유물사관파의 사회론
다. 주자학과 유물사관의 유사성
4. 소결론

Ⅶ. 정리와 전망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다산의 마지막 공부 : 마음을 지켜낸다는 것 다산의 마지막 공부 : 마음을 지켜낸다는 것 2018 / 지음: 조윤제 / 청림출판
다산의 마지막 습관 : 기본으로 돌아간다는 것 다산의 마지막 습관 : 기본으로 돌아간다는 것 2020 / 지음: 조윤제 / 청림출판
이덕무를 읽다 : 조선 최고의 문장 이덕무를 읽다 : 조선 최고의 문장 2016 / 한정주 지음 / 다산초당
처음 읽는 한국 현대철학 : 동학에서 함석헌까지, 우리철학의 정체성 찾기 처음 읽는 한국 현대철학 : 동학에서 함석헌까지, 우리철학의 정체성 찾기 2015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지음 / 동녘
나는 불완전한 내가 고맙다 나는 불완전한 내가 고맙다 2017 / 강경희 지음 / 동아일보사
잔향의 중국철학 : 언어와 정치 잔향의 중국철학 : 언어와 정치 2015 / 나카지마 다카히로 지음 ; 신현승 옮김 / 글항아리
강의 : 나의 동양고전 독법 강의 : 나의 동양고전 독법 2010 / 신영복 지음 / 돌베개
중국의 과학과 형이상학 논쟁 중국의 과학과 형이상학 논쟁 2015 / 이상화 지음 / 한국문화사
이중톈, 사람을 말하다 : 인생의 지혜를 고전 강의 이중톈, 사람을 말하다 : 인생의 지혜를 고전 강의 2013 / 지은이: 이중톈 지음 ; 옮김이: 심규호 / 중앙books
천년의 내공  : 내가 단단해지는 새벽 공부 천년의 내공 : 내가 단단해지는 새벽 공부 2016 / 지은이: 조윤제 / 청림출판
천년의 내공  : 내가 단단해지는 새벽 공부 천년의 내공 : 내가 단단해지는 새벽 공부 2016 / 지은이: 조윤제 / 청림출판
(간명한)중국철학사 = (A)short history of Chines philosophy (간명한)중국철학사 = (A)short history of Chines philosophy 2014 / 펑유란 지음 ; 정인재 옮김 / 형설출판사
오른손에 논어, 왼손에 한비자 : 현대를 균형 있게 살아가기 위한 방법 오른손에 논어, 왼손에 한비자 : 현대를 균형 있게 살아가기 위한 방법 2015 / 모리야 히로시 저 ; 김진연 역 / 다산출판사
나를 지켜낸다는 것 : 칭화대 10년 연속 최고의 명강, 수신의 길 나를 지켜낸다는 것 : 칭화대 10년 연속 최고의 명강, 수신의 길 2014 / 팡차오후이 지음 ; 박찬철 옮김 / 위즈덤하우스
공자전 : 반체제 인사의 리더 성인이 되기까지 우리가 몰랐던 공자 이야기 공자전 : 반체제 인사의 리더 성인이 되기까지 우리가 몰랐던 공자 이야기 2016 / 시라카와 시즈카 지음 ; 장원철, 정영실 옮김 / 펄북스

같이 빌린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중국어 천재가 된 홍 대리 : [전자책] 중국어 천재가 된 홍 대리 : [전자책] 2018 / 지음: 문정아 / 다산북스
중국어 회화 학습법 중국어 회화 학습법 2017 / 이형란 지음 / 시사중국어사
지구 자성  : 자기장 속으로의 여행 지구 자성 : 자기장 속으로의 여행 2010 / 월레스 홀 캠펠 지음 ; 이재일, 차동우 옮김 / 북스힐
세균에서 생명을 보다  : 생물학의 미래를 보여준 세균학의 결정적 연구들  세균에서 생명을 보다 : 생물학의 미래를 보여준 세균학의 결정적 연구들 2024 / 지음: 고관수 / 계단
왕서방과 코끼리 : 다각도에서 들여다보는 중국의 면면 왕서방과 코끼리 : 다각도에서 들여다보는 중국의 면면 2017 / 이종철 지음 / 어문학사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열국지 사상 열전 : 열국지로 배우는 열 두 가지 지혜 열국지 사상 열전 : 열국지로 배우는 열 두 가지 지혜 2015 / 신동준 지음 / 을유문화사
소금, 쇠, 술 : 어떻게 백성들의 고통을 덜어줄 것인가? 소금, 쇠, 술 : 어떻게 백성들의 고통을 덜어줄 것인가? 2016 / 환관 지음 ; 임덕화 편역 / 자유문고
국가와 백성 사이의 漢  : 한 제국, 덕치와 형벌의 이중주 국가와 백성 사이의 漢 : 한 제국, 덕치와 형벌의 이중주 2013 / 히하라 도시쿠니 지음 ; 김동민 옮김 / 글항아리
공자, 최후의 20년  : 유랑하는 군자에 대하여 공자, 최후의 20년 : 유랑하는 군자에 대하여 2010 / 왕건문 지음 ; 이재훈 ; 은미영 옮김 / 글항아리
(중국을 이해하는) 중국유학사  : 인간의 근본을 논한 儒學 (중국을 이해하는) 중국유학사 : 인간의 근본을 논한 儒學 2016 / 편역: 김동휘 / 신원문화사
이탁오와 조선의 실학  : 성리학을 비판한 유교의 개혁자 이탁오와 조선의 실학 : 성리학을 비판한 유교의 개혁자 2017 / 지은이: 신용철 / 탐구당
광자의 탄생 : 중국 광인의 문화사 광자의 탄생 : 중국 광인의 문화사 2015 / 지음: 류멍시, 옮김: 한혜경, 이국희 / 글항아리
중국 사상 문화 사전 중국 사상 문화 사전 2011 / 미조구치 유조 ; 마루야마 마쓰유키 ; 이케다 도모히사 엮음 ; 김석근 ; 김용천 ; 박규태 옮김 / 책과함께
유학사회통론 유학사회통론 2018 / 지음: 천징송 ; 옮김: 김승일 ; 이영자 / 경지출판사
마오쩌동과 근대중국 마오쩌동과 근대중국 2019 / 지음: 리쥔루 ; 옮김: 김승일 ; 홍매 / 경지출판사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0
40대1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0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1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