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책머리에
Ⅰ. 궁중문학(宮中文學)
1. 궁중문학의 개념과 범위
2. 조선조 궁중 문학의 백미(白眉)
1) <인형왕후전>
(1) 줄거리
(2) 작자와 창작시기
(3) 양식론
2) <한중록>
(1) 줄거리
(2) <한중록>의 명칭(名稱)
(3) 구성(構成)과 창작동기
(4) 양식론
3. 조선조 궁중문학의 특질과 가치
1) 궁중 여성의 삶과 문학을 조명할 수 있다
2) 역사적 사건에서 이면의 진실을 알 수 있다
3) 조선조 궁중 문화 연구의 귀중한 자료다
4) 피지배자들의 삶의 모습을 만날 수 있다
5) 잃어가는 고어를 간직한 보물창고다
6) 우아하고 다양한 계층의 궁중어를 알 수 있다
7) 궁중과 관련된 문화사업의 콘텐츠 자료를 제공한다
Ⅱ. <계축일기>
1. 명칭과 창작 동기
2. 이본
1) <계축일기>
2) <서궁일기>
3. 작자
4. 창작시기
5. 양식론(樣式論), 수필 양식으로 서술한 궁중실기문학(宮中實記文學)이다
Ⅲ. <계축일기> 인물연구
1. 인목왕후의 소천(所天)) 선조(宣祖)
1) 선조의 할아버지 중종
2) 선조의 큰아버지 인종의 죽음과 저주사건
3) 선조의 둘째 큰아버지 명종
2. <계축일기>와 인목왕후
1) 19살 노처녀, 51세 왕과 혼인하다
2) 정명공주와 영창대군을 낳다
3) 고아해군 제15대 왕으로 즉위하다
4) 선조의 묘호와 인목왕후 배릉의 진실
(1) 묘호(廟號), 선종(宣宗)에서 선조(宣祖)로 고침
(2) 인목왕후 배릉(排陵) 사건
5) 임해군(臨海君) 옥사(獄死)
6) 광해군, 형 임해군(臨海君)을 죽이다
7) 계축옥사(癸丑獄事)와 영창대군
8) 박응서 사건(朴應犀事件)
9) 인목왕후의 죄목(罪目), 저주사건
(1) 유릉(裕陵) 방정 사건
(2) 왕과 세자를 향한 저주
10) 영창대군(永昌大君)의 최후
11) 인목왕후의 수난과 폐위(廢位)
(1) 광해군, 생모(공빈 김씨)를 왕후로 추숭(追崇)
(2) 인목왕후와 서궁 유폐(西宮幽閉)
12) 폐비(廢妃)되어 후궁(後宮)으로 강등된 인목대비
13) 인조반정과 인목대비의 복위(復位)
3. 인목대비의 숙적(宿敵), 광해군
1) 광해군의 악행
(1) 시부(弑父)
(2) 음증(淫烝)의 죄
2) 패륜(悖倫) 광해군의 최후(最後)
(1) 광해군의 최후(最後)
(2) 정신적 복수를 위한 희화화(戱畵化)
4. 비운의 왕녀(王女), 정명공주(貞明公主)
5. 이이첨(李爾瞻)과 허균(許筠)
1) 경운궁 흉격(兇檄) 사건과 허균(許筠)
2) 이이첨(李爾瞻)과 허균(許筠)의 악연(惡緣)
Ⅳ. <계축일기>의 작자 궁녀(宮女)
1. 전문직 여성, 궁녀(宮女)
2. 조선의 궁녀제도
1) 궁녀의 범주와 명칭
2) 궁녀의 선출과정과 인원
3) 궁녀의 품계와 역할
4) 궁녀의 하녀
(1) 방자(房子)와 취반비(炊飯婢)
(2) 무수리(水賜伊)와 수모(水母), 파지(把持)
(3) 비자(婢子)
5) 그 밖의 궁인
(1) 유모(乳母)
(2) 의녀(醫女)
6) <계축일기>에 등장하는 궁녀
(1) 유능 방정사건과 나인들의 수난
(2) 독경(讀經)사건과 나인들의 수난
(3) 편지사건과 나인들의 수난
(4) 김개시(介屎, 개똥이)의 악행과 말로(末路)
Ⅴ. <계축일기>의 문예적 가치와 생명력(生命力)
1. 정신적 복수를 위한 희화화(戱畵化)
2. 지배자의 속물근성을 확인할 수 있다
3. 궁녀들의 삶을 엿볼 수 있다
4. 특수어 연구의 귀중한 자료가 된다
5. 문화콘텐츠의 원천이다
참고문헌
부록(가계도/궁중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