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은 서론으로 연구 배경과 필요성, 연구 목적, 연구 범위와 방법을 기술하였다. 제2장은 디아스포라 이해를 위한 이론과 선행연구의 검토이다. 디아스포라의 개념과 제이론의 소개, 초국가주의, 단체 및 조직이론, 네트워크 필요성과 유형, 재외국민 참정권 등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디아스포라 이해를 위한 이론과 선행연구
제3장 재일한인 디아스포라 이주와 집거지 형성
제4장 민단과 재일연합회의 결성과 변천 과정
제5장 민단과 재일연합회의 단체 활동 비교
제6장 민단과 재일연합회의 단체 네트워크
제7장 민단과 재일연합회의 재외국민선거 비교
제8장 재일한인회와 글로벌 네트워크
서가브라우징
화교 이야기: 중국과 동남아 세계를 이해하는 키워드2021 / 지음: 김종호 / 너머북스
화교 이야기: 중국과 동남아 세계를 이해하는 키워드2021 / 지음: 김종호 / 너머북스
화인 디아스포라의 이주 흐름과 초국가적 공동체 = Chinese diaspora : migration flows and transnational communities 2021 / 지음: 김혜련 [외] / 북코리아
노인을 위한 나라: 동남아시아 은퇴이주 문화는 어떻게 생겨났는가2020 / 김도혜 지음; 신봉아 옮김 / 국립아시아문화전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