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도서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해방공간의 한국 정치 지형을 좌우 대립이 아니라 중간파와 좌우 양극단의 갈등으로 파악하자는 중극 대립의 시각으로, 학계 안팎의 지식인과 시민사회에서 갈수록 반향을 얻고 있는 <해방일기>. 6권은 해방공간 전반기를 돌아 1947년 1월에서 4월까지 시공간을 다룬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머리말 조선을 냉전의 길로 몰아넣은 이승만의 승리

1 반탁운동 재개와 건국 노선 갈등 1947년 1월 2 ~ 30일
1947. 1. 2. 김구와 한독당, 노선이 보이지 않는다
1947. 1. 4. 입법의원을 둘러싼 동상이몽(同床異夢)
1947. 1. 9. 미군 전용 열차 강간 사건, 당한 것은 그들뿐이 아니었다
1947. 1. 11. 하지의 ‘변절’에 분노한 반탁 세력
1947. 1. 13. 모리배와 탐관오리, 빙산의 일각을 본다
1947. 1. 16. 미군정 ‘조선인화’는 어떤 조선인에게로?
1947. 1. 18. “이승만·김구·하지의 동상이몽”
1947. 1. 20. 우익에게 ‘공공의 적’이 된 김규식과 합작위원회
1947. 1. 23. 맛만 보고 도로 빼앗긴 ‘설날’
1947. 1. 27. “뼛속까지 친미파?” 이승만 앞에 부끄러워하라
1947. 1. 30. ‘반역 집단’으로 몰리는 좌우합작위원회
안재홍 선생에게 묻는다 “분단만은 안 돼!” 백범께서 나서주셨으면
해방의 시공간 - 일지로 보는 1947년 1월

2 김구·이승만의 동상이몽 1947년 2월 1 ~ 29일
1947. 2. 1. 천도교청우당이 “조선노동당의 외곽 단체?”
1947. 2. 3. 김구, 어디까지 애국자였고 어디서부터 정치인이었나?
1947. 2. 8. 행정권을 맡기며 경제권을 안 주는 ‘조선인화(Koreanization)'
1947. 2. 10. 김구가 반탁운동을 버리지 못하는 이유
1947. 2. 12. “반탁 세력, 너희들 속셈은 밝혀졌다”
1947. 2. 15. 하지의 ‘소환’에 어떤 의미가 있었나?
1947. 2. 17. 존 하지, 다른 데서 필요치 않아 조선에 보내진 인물
1947. 2. 20. ‘고문(拷問)권 수호’를 위한 경찰서장들의 ‘데모’
1947. 2. 22. 장개석 눈에 이승만이 어떻게 보였을까?
1947. 2. 24. 남조선 해방 정국의 축도(縮圖) ‘국대안 파동’
1947. 2. 29. “가짜 김일성” 설은 박헌영이 시작?
안재홍 선생에게 묻는다 민정장관, 자신 있어요?
해방의 시공간 - 일지로 보는 1947년 2월

3 외세에 따른 분단 건국 vs. 통일 건국 1947년 3월 1 ~ 28일
1947. 3. 1. ‘도둑적으로 완벽’했던 장택상
1947. 3. 2. 남쪽의 선거와 북쪽의 선거, 어떻게 달랐나?
1947. 3. 7. ‘군대’를 ‘군대’라 부르지 못하고......
1947. 3. 9. 김구, “이승만 없는 사이에......”
1947. 3. 12. ‘해방군’의 허실을 보여준 그리스 내전
1947. 3. 14. 전 세계 공산주의 운동을 배신한 스탈린
1947. 3. 16. 마카오에서 온 ‘보물선’
1947. 3. 19. 한반도로 밀려온 트루먼독트린의 쓰나미
1947. 3. 21. 장택상, 어떤 사람이었나?
1947. 3. 21. 절제된 파업, 절제 없는 검거
1947. 3. 23. 여운형이 뉴델리에 갔더라면!
1947. 3. 26. 친일파 문제를 묵살하는 미군정
안재홍 선생에게 묻는다 외세에 대한 태도로 갈라지는 정치 노선
해방의 시공간 - 일지로 보는 1947년 3월

4 미군정, 친일파에게 친미파의 길을 열어주다 1947년 4월 2 ~ 30일
1947. 4. 2. 중국의 국공내전에 북조선 군대가 참전?
1947. 4. 4. 테러범, 경찰, 동아일보 합작의 블랙코미디
1947. 4. 9. 미군정의 ‘엿장수 군정 재판’
1947. 4. 11. 아! 기다리고 기다리던 미소공위 재개!
1947. 4. 16. 미군정의 친일파 ‘재활용’ 정책
1947. 4. 18. 친일파의 나라, 진짜 책임은 미(美)에 있다
1947. 4. 20. ‘민족주의 진영’의 허와 실
1947. 4. 23. “외교에는 귀신?” 이승만 방미 외교의 실체
1947. 4. 25. 이승만, 임정을 등지다
1947. 4. 27. 서재필이 오면 이승만을 누를 수 있을까?
1947. 4. 30. 서울시 학무국 마틴 고문, 어글리하지 않은 미국인
안재홍 선생에게 묻는다 ‘사악함’보다 ‘우둔함’이 더 문제
해방의 시공간 - 일지로 보는 1947년 4월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도쿄 대재판 도쿄 대재판 1999 / 황허이 지음 ; 백은영 옮김 / 예담
26일 동안의 광복 : 1945년 8월 15일-9월 9일, 한반도의 오늘을 결정지은 시간들 26일 동안의 광복 : 1945년 8월 15일-9월 9일, 한반도의 오늘을 결정지은 시간들 2020 / 지음: 길윤형 / 서해문집
26일 동안의 광복 : 1945년 8월 15일-9월 9일, 한반도의 오늘을 결정지은 시간들 26일 동안의 광복 : 1945년 8월 15일-9월 9일, 한반도의 오늘을 결정지은 시간들 2020 / 지음: 길윤형 / 서해문집
해방일기 : 해방은 도둑처럼 왔던 것인가 : 1945.8.1~10.29. 1 해방일기 : 해방은 도둑처럼 왔던 것인가 : 1945.8.1~10.29. 1 2015 / 지음: 김기협 / 너머북스
해방일기 : 해방을 주는 자와 해방을 얻는 자 : 1945.11.1~1.31. 2 해방일기 : 해방을 주는 자와 해방을 얻는 자 : 1945.11.1~1.31. 2 2015 / 지음: 김기협 / 너머북스
해방일기 : 반공의 포로가 된 이남의 해방 : 1946.5.1~8.30. 4 해방일기 : 반공의 포로가 된 이남의 해방 : 1946.5.1~8.30. 4 2015 / 지음: 김기협 / 너머북스
해방일기 : 길 잃은 해방이 가져온 비극 : 1946.9.2~12.30. 5 해방일기 : 길 잃은 해방이 가져온 비극 : 1946.9.2~12.30. 5 2015 / 지음: 김기협 / 너머북스
해방일기 : 냉전에 파묻힌 조선해방 : 1947.1.2~4.3. 6 해방일기 : 냉전에 파묻힌 조선해방 : 1947.1.2~4.3. 6 2015 / 지음: 김기협 / 너머북스
해방일기 : 깨어진 해방의 약속 : 1947.5.2~8.31. 7 해방일기 : 깨어진 해방의 약속 : 1947.5.2~8.31. 7 2015 / 지음: 김기협 / 너머북스
해방일기 : 의미를 잃어버린 해방 : 1947.9.3~12.31. 8 해방일기 : 의미를 잃어버린 해방 : 1947.9.3~12.31. 8 2014 / 지음: 김기협 / 너머북스
해방일기 : 해방된자, 누구였던가 : 1948.1.2~4.29. 9 해방일기 : 해방된자, 누구였던가 : 1948.1.2~4.29. 9 2014 / 지음: 김기협 / 너머북스
10월 항쟁  : 1946년 10월 대구 봉인된 시간 속으로 10월 항쟁 : 1946년 10월 대구 봉인된 시간 속으로 2016 / 지음:김상숙 / 돌베개
(미군정 언론탄압·사상통제의 서막,) 정판사조작사건  (미군정 언론탄압·사상통제의 서막,) 정판사조작사건 2023 / 지음: 김상구 / 책과나무
(미군정 언론탄압·사상통제의 서막,) 정판사조작사건  (미군정 언론탄압·사상통제의 서막,) 정판사조작사건 2023 / 지음: 김상구 / 책과나무
버치 문서와 해방 정국 : 미군정 중위의 눈에 비친 1945~1948년의 한반도 버치 문서와 해방 정국 : 미군정 중위의 눈에 비친 1945~1948년의 한반도 2021 / 지음: 박태균 / 역사비평사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이이화 한국사 이야기. 22, 빼앗긴 들에 부는 근대화 바람 이이화 한국사 이야기. 22, 빼앗긴 들에 부는 근대화 바람 2016 / 이이화 지음 / 한길사
(미래를 여는)한국의 역사. 1-5 : 원시시대에서 남북국시대까지 : 고려시대 (미래를 여는)한국의 역사. 1-5 : 원시시대에서 남북국시대까지 : 고려시대 2011 / 지은이: 김인호, 임용한, 한정수 ;, 기획: 역사문제연구소 / 웅진씽크빅
(미래를 여는)한국의 역사. 1-5 : 원시시대에서 남북국시대까지 : 고려시대 (미래를 여는)한국의 역사. 1-5 : 원시시대에서 남북국시대까지 : 고려시대 2011 / 지은이: 김인호, 임용한, 한정수 ;, 기획: 역사문제연구소 / 웅진씽크빅
민음 한국사. 2:, 16세기 성리학 유토피아 민음 한국사. 2:, 16세기 성리학 유토피아 2014 / 강응천, 권소현, 송웅섭, 염정섭, 오상학, 정재훈, 한명기, 한필원 ; 편저: 문사철 / 민음사
요동고구려 산성을 가다 : 73개 고구려 산성 현장답사 요동고구려 산성을 가다 : 73개 고구려 산성 현장답사 2018 / 지음: 원종선, 서문: 김용옥 / 통나무
조선 왕을 말하다. 1 : 이덕일 역사평설 조선 왕을 말하다. 1 : 이덕일 역사평설 2015 / 이덕일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조선의 딸, 총을 들다 조선의 딸, 총을 들다 2016 / 정운현 지음 / 인문서원
역사로 남은 조선의 살인과 재판 역사로 남은 조선의 살인과 재판 2013 / 이번영 지음 / 이른아침
1923 경성을 뒤흔든 사람들 1923 경성을 뒤흔든 사람들 2016 / 김동진 지음 / 서해문집
퍼펙트 조선왕조 : 정도전과 조선왕조의 숨겨진 역사의 현장. 2 퍼펙트 조선왕조 : 정도전과 조선왕조의 숨겨진 역사의 현장. 2 2014 / 이준구, 강호성 [공]지음 / 스타북스
한국사에 감동하다 : 세계에 자랑해도 좋을 감동의 역사를 읽는다! 한국사에 감동하다 : 세계에 자랑해도 좋을 감동의 역사를 읽는다! 2015 / 지음: 원유상 / 좋은날들
미래를 여는 한국의 역사. 4, 개항에서 강제 병합까지 미래를 여는 한국의 역사. 4, 개항에서 강제 병합까지 2011 / 정숭교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경성 모던타임스 경성 모던타임스 2014 / 박윤석 지음 / 문학동네
한국 고대 왕조사 탐색 : 삼국유사주의를 그리며 한국 고대 왕조사 탐색 : 삼국유사주의를 그리며 2013 / 김영태 지음 / 동국대학교출판부
(오직 한 사람을 위한 시대)유신 (오직 한 사람을 위한 시대)유신 2014 / 한홍구 지음 / 한겨레출판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0
40대0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0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