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수산개발원 환동해 시리즈 3권. 우리나라는 물론 일본, 중국, 북한 등 주변국들의 경제 상황과 향후 전망 등을 살펴보고, 국가별.지역별.도시별 협력방안을 탐색하는 데 초점을 맞췄는데, 일단 환동해 국가들의 관련 정보를 모아보자는 취지에서 총론과 함께 각론을 포함한 것이 특징이다.
목차
발간사
제1부 경제인문편 제1장 환동해, 변방을 넘어 1. 왜 환동해인가? 2. 환동해지역의 재인식 3. 환동해지역의 실제 4. 역내 국가들의 전략 5. 환동해지역의 중층적 지역성 6. 결론 제2장 환동해 경제전망 1. 서론 2. 환동해 경제 현황과 전망 3. 한국과 환동해 경제협력 현황과 과제 4. 결론 및 정책 시사점 제3장 환동해 도시 네트워크 1. 서론 2. 초국경 도시 네트워크와 환동해지역 도시의 특성 3. 환동해지역 도시 간 교류·협력 실태 4. 환동해지역 개발계획과 도시의 발전 5. 환동해지역 도시 간 협력 방안과 공간적 발전 전망 6. 결론 제4장 환동해 역학관계 1. 세력 변동기를 맞은 환동해권 2. 국제관계 이론으로 본 동아시아의 안보 환경 3. 동아시아를 둘러싼 두 개의 전략 환경 4. 환동해권의 전략적 환경과 질서
제2부 국제협력편 제5장 일본의 환동해 개발정책 1. 서론 2. 중앙정부의 환동해 연안 개발정책 3. 지방 자치단체의 환동해 정책 4. 결론 제6장 중국의 환동해 개발과 협력 1. 서론 2. 두만강지역 개발과 창지투 3. 북·중 경제협력 4. 중·러 경제협력 5. 중·몽 경제협력 제7장 러시아의 극동 개발정책 1. 러시아 극동 물류 2. 러시아의 극동지역 개발정책 3. 러시아 극동에서의 한·러 경제협력 4. 향후 러시아 극동에서의 한·러 협력 분야와 발전 방향 제8장 몽골의 환동해 통로 개발 1. 서론 2. 몽골의 기반시설 3. 몽골의 석탄 생산 및 무역 4. 몽골의 물동량 분석 5. 결론 및 제언
제3부 지역발전편 제9장 북한의 환동해 협력 1. 남북한 물류분야 협력 프로그램 2. 환동해 발전 구상을 위한 북한의 대외협력 방안 3. 물류관련 인프라 건설을 위한 남북한 체계구축 제10장 부산의 환동해 협력 방안 1. 환동해권의 변화와 연안 도시 간의 협력 필요성 2. 환동해 연안도시 중심의 발전구상 3. 부산의 환동해 연안도시 간 협력 방안 4. 마무리 하면서: 동해를 평화의 바다로, 열린 바다로 제11장 강원의 환동해 협력 방안 1. 환동해 시대, 강원도의 여건 변화 2. 북방경제시대 강원 항만의 이니셔티브 3. 환동해 협력을 위한 강원도의 발전전략 4. 북방물류 전진기지 강원도 제12장 GTI와 동북아 경제협력 1. 서론 2. 동북아시아 경제협력의 어제와 오늘 3. 광역두만강개밝획(GTI)의 전개 과정 4. GTI 협력의 최근 성과와 향후 전망 5. 우리나라의 참여 방안 6. 맺는말
제4부 경제개발편 제13장 환동해 물류시장 개발 1. 서론 2. 환동해 경제권의 역사적 배경 3. 환동해 물류시장 구조변화 4. 환동해 물류시장의 경제성장을 위한 제언 제14장 환동해 국가 철도 협력 1. 서론 2. 환동해 각국의 교통 협력 현황 3. 협력 추진 과정에서의 장애요인 분석 4. 환동해 국가 간 철도, 교통 협력 증진 방안 5. 정부 및 기업 등의 대응방안 제15장 환동해 수산부문 개발 방안 1. 세계 수산업 동향 2. 우리나라 수산업 동향 및 위상 3. 우리나라 수산업 진단 4. 우리나라 수산부문 개발 방안 5. 환동해 수산부문 협력 방안 제16장 환동해 해양관광 모델 1. 서론 2. 환동해권 3. 해양관광 4. 관광시장 현황 5. 환동해권 해양관광 협력 방안 6. 환도애권 해양관광 사업화 전략 7. 결론 및 제언 제17장 환동해 에너지 협력 1. 에너지 협력 현황과 전략 2. 에너지 협력 과제와 협력 증대 방안 3. 정책적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