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사 왕이 되는 한국사 이야기』가 아이들에게 좋은 이유
우리 겨레 첫 나라, 고조선
단군 신화와 웅녀 이야기
8조법이 전하는 고조선의 법
알에서 태어난 고구려의 주몽
유리왕, 우리나라 첫 서정시를 짓다
진대법을 만든 을파소와 고국천왕
고구려의 기틀을 세운 소수림왕
광개토 대왕과 장수왕의 위업
명장 을지문덕과 승리의 살수 대첩
금당 벽화의 담징, 거문고의 왕산악
권력자 연개소문, 명장 양만춘
고구려의 마지막을 바라본 보장왕
동서 문화 교류를 이끈 고선지 장군
고구려인의 흔적, 장군총과 무용총
광개토 대왕릉비와 중원 고구려비
비류와 온조, 백제를 세우다
백제에서 남부여로, 근초고왕과 성왕
「서동요」의 주인공, 무왕과 선화 공주
백제의 충신 계백, 신라의 충신 관창
미륵사지 석탑과 마애여래삼존상
백제의 삶을 보여 준 무령왕릉과 풍납토성
알에서 태어난 혁거세, 용이 낳은 알영
우산국을 정복한 이사부 장군
법흥왕과 이차돈의 기적
진흥왕의 업적을 담은 진흥왕 순수비
세속오계를 만든 원광 법사
선덕 여왕, 첫 여왕이 등극하다
신라 불교의 큰 별, 원효 대사와 의상 대사
삼국 통일의 쌍두마차, 김유신과 김춘추
통일 신라의 첫 왕, 문무왕
신라를 받치는 두 기둥, 화백 회의와 골품 제도
신라 최고의 문장가 최치원
해상왕 장보고와 청해진
경순왕, 신라 최후의 왕이 되다
고구려를 잇는 나라, 발해
선왕과 해동성국 발해의 번영
지렁이의 아들 견훤, 후백제를 세우다
스님이었던 궁예, 후고구려를 세우다
고려를 건국한 태조 왕건
광종, 노비안검법과 과거제를 시행하다
나라를 구석구석 살펴본 성종
말로써 강동 6주를 차지한 서희
긍지 높은 고려 장수, 강조
귀주 대첩을 승리로 이끈 강감찬
여진 정벌의 주인공, 윤관
묘한 스님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
무신의 난이 일어나다
망이·망소이의 난과 만적의 난
유라시아를 휩쓴 몽골의 침략
김윤후의 화살에 맞은 몽골 장수 살리타
원나라에선 고려양, 고려에선 몽골풍
고려인의 소망이 담긴 팔만대장경
화약 제조법을 밝혀낸 최무선
공민왕의 꿈, 자주국 고려
붓뚜껑에 목화씨를 숨겨 온 문익점
「단심가」를 지은 정몽주
최영 장군의 풀 없는 무덤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
쓸쓸히 죽은 고려 마지막 왕, 공양왕
권문세족에 맞선 신진 사대부
국가 행사, 연등회와 팔관회
고려를 대표하는 무역항, 벽란도
백성을 위해 만든 상평창과 의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