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도서

  • 누비처네  : 목성균 수필 전집
  • 대출인기

    누비처네 : 목성균 수필 전집

    발행연도 - 2014 / 목성균 지음 ; 김종완 해설 / 연암서가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2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317360
    • ISBN 9788994054124
    • 형태 626 p. 20 cm
    • 한국십진분류 문학 > 한국문학 > 수필
    • 카테고리분류 에세이/시/희곡 > 한국문학 > 에세이/산문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2004년에 세상을 떠난 수필가 목성균의 수필 전집. 목성균 수필가는 1995년 등단하여 시적 언어 구사력과 탄탄한 구성력으로 작고 하찮은 것, 평범한 것들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면서 생명력 있는 수작들을 빚어내어 2003년 <명태에 관한 추억>을 출간하는 등 의욕적으로 작품을 쏟아내다 이듬해 타계하였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발간사

제1부 억새의 이미지
고개
그리운 시절
누비처네
다랑논
부엌 궁둥이에 등을 기대고
사기 등잔
살포
억새의 이미지
옹기와 사기
조팝나무꽃 필 무렵
세한도
만돌이, 부등가리 하나 주게

제2부 혼효림
목도리
새벽의 거리
선배의 모습
앞자리
액자에 대한 유감
어떤 직무유기
의사 선생님께
조선낫과 왜낫
파리 목숨
혼효림
약속
동구나무

제3부 기둥시계
고향집을 허물면서
기둥시계
돼지불알
명태에 관한 추억
소나기
아버지의 강
국화
할머니의 세월
꽃 냄새
뻐꾸기 울 때
선풍기
알밤 빠지는 소리
우정의 무대

제4부 불영사에서
장모님과 끽연을
희권이의 실내화
간이역
거진항의 아침
길 위에서
논란의 여지
불영사에서
장마전선을 넘어
전장포
휴게소에서
속리산기
본개나루에서
새벽 등산
강진의 밤

제5부 생명
고모부
깃발 1
눈물에 젖은 연하장
당목수건
미움의 세월(歲月)
생명
손수건
소년병(少年兵)
아버지의 도장
할머니의 산소

제6부 봄비와 햇살 속으로
가을바람 부는 대로
봄빛을 따라서
봄비와 햇살 속으로
산읍 소묘(山邑素描)
새우젓
수루 앞에서
억수리에서
얼음새꽃
칸나의 계절
H형께

제7부 행복한 군고구마
고향설(故鄕雪)
동구(洞口)
바래너미의 고욤나무
배필(配匹)
조령산(鳥嶺山)
행복한 군고구마
현암리에서

제8부 괘종시계
가을 운동회
괘종시계
깃발 2
막내의 아르바이트
무심천의 피라미
아파트의 불빛
진달래꽃
찔레꽃 필 무렵
큰밭
한들 산모퉁이 길

제9부 꽃이 핀 자리
꽃이 핀 자리
나의 수필
돈독(敦篤)에 대하여
말복(末伏)
백로(白露)
생쥐
여덟 살의 배신
존재와 이름
첫눈
커피에 관한 추억(追億)

해설ㅣ목성균의 수필 세계 / 김종완
목성균 연보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마음의 풍경 마음의 풍경 2000 / 이해인 저 / 이레
마음의 풍경 마음의 풍경 2000 / 이해인 저 / 이레
사유의 뜰 사유의 뜰 2001 / 맹난자 저 / 우리출판사
도시 비타민 M : 맹형규 자전 에세이 도시 비타민 M : 맹형규 자전 에세이 2006 / 맹형규 지음 / 나무와숲
(나를 움직인 한 마디)머뭇거리지 말고 시작해 (나를 움직인 한 마디)머뭇거리지 말고 시작해 2006 / 공선옥 외 지음 / 샘터
(나를 움직인 한 마디)머뭇거리지 말고 시작해 (나를 움직인 한 마디)머뭇거리지 말고 시작해 2006 / 공선옥 외 지음 / 샘터
멋과 美 멋과 美 1992 / 이어령...외지음 / 삼성문화개발
누비처네  : 목성균 수필 전집 누비처네 : 목성균 수필 전집 2014 / 목성균 지음 ; 김종완 해설 / 연암서가
명태에 관한 추억 : 돈독했던 삶의 부가가치를 위하여 명태에 관한 추억 : 돈독했던 삶의 부가가치를 위하여 2004 / 목성균 지음 / 하서
거울은 먼저 웃지 않는다 거울은 먼저 웃지 않는다 2007 / 문만재 저 / 문학과
거시기 거시기 2006 / 문부자 저 / 연우출판사
참좋다.정말 좋구나 참좋다.정말 좋구나 1999 / 문수안 저 / 늘푸른소나무
가는봄 솔숲은 지금 송화가루 해산중 가는봄 솔숲은 지금 송화가루 해산중 2001 / 문시종 저 / 다층
우리 이제 나를 위해 살자 우리 이제 나를 위해 살자 1998 / 문인숙 지음 / 중앙M&B
(음유시인 가객 김광석과 떠나는)추억여행 (음유시인 가객 김광석과 떠나는)추억여행 2006 / 문제훈 엮음 / 여름숲

같이 빌린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여덟 단어 : 인생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 여덟 단어 : 인생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 2013 / 박웅현 지음 / 북하우스
한국인 이야기. [1], 탄생 : 너 어디에서 왔니 한국인 이야기. [1], 탄생 : 너 어디에서 왔니 2020 / 지음: 이어령 / 파람북
식객 . 2  식객 . 2 2012 / 허영만 취재.글.그림 ; 이호준 취재.글 / 김영사
식객 = 食客. 3, 소고기 전쟁 식객 = 食客. 3, 소고기 전쟁 2003 / 허영만 글·그림 / 김영사
식객 . 4  식객 . 4 2012 / 허영만 취재.글.그림 ; 이호준 취재.글 / 김영사
식객(食客). 1, 맛의시작 식객(食客). 1, 맛의시작 2009 / 허영만 취재·글·그림 / 김영사
연탄길. 1 연탄길. 1 2016 / 지음: 이철환 / 생명의말씀사
연탄길. 2 연탄길. 2 2016 / 지음: 이철환 / 생명의말씀사
연탄길. 3 연탄길. 3 2016 / 지음: 이철환 / 생명의말씀사
어머니의 눈사람 : 내 안에 간직해온 세상 가장 따뜻한 삶의 의미 어머니의 눈사람 : 내 안에 간직해온 세상 가장 따뜻한 삶의 의미 2016 / 지음: 박동규 / RHK
팔만대장경도 모르면 빨래판이다 팔만대장경도 모르면 빨래판이다 1998 / 전병철 지음 / 내일을 여는 책
한국 가족복지의 이해 한국 가족복지의 이해 2001 / 최경석 외저 / 인간과 복지
가정생활복지론 가정생활복지론 2002 / 조희금 외저 / 신정
현대사회와 가정복지 현대사회와 가정복지 2004 / 채옥희 [외] 지음 / 신정
가족복지론 가족복지론 2006 / 김혜경...[등]지음 / 공동체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꽃은 많을수록 좋다 꽃은 많을수록 좋다 2016 / 김중미 지음 / 창비
딸에게 주는 레시피  : 공지영 에세이 딸에게 주는 레시피 : 공지영 에세이 2015 / 공지영 지음 ; 이장미 그림 / 한겨레출판
빨강머리 앤이 하는말 : 아직 너무 늦지 않았을 우리에게 빨강머리 앤이 하는말 : 아직 너무 늦지 않았을 우리에게 2016 / 백영옥 지음 / 아르테
라면을 끓이며 : 김훈 산문 라면을 끓이며 : 김훈 산문 2015 / 김훈 지음 / 문학동네
(황석영의)밥도둑  : 황석영 산문 (황석영의)밥도둑 : 황석영 산문 2016 / 황석영 저 / 교유서가
물 긷는 소리  : 장석남 산문집 물 긷는 소리 : 장석남 산문집 2008 / 장석남 / 해토
살아온 기적 살아갈 기적 : 장영희 에세이 살아온 기적 살아갈 기적 : 장영희 에세이 2011 / 장영희 지음 ; 정일 그림 / (주)샘터사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  : 아버지는 자식을 낳고, 자식은 아버지를 낳고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 : 아버지는 자식을 낳고, 자식은 아버지를 낳고 2016 / 윤용인 지음 / 알키
물의 정거장 물의 정거장 2015 / 지음: 장석남 / 난다
나의 딸의 딸 나의 딸의 딸 2014 / 최인호 지음 / 여백
나를 잃지 마, 어떤 순간에도  : [이북 E-book] : 조유미 에세이 나를 잃지 마, 어떤 순간에도 : [이북 E-book] : 조유미 에세이 2019 / 조유미 지음 / 허밍버드
언제 들어도 좋은 말: 이석원 이야기 산문집 언제 들어도 좋은 말: 이석원 이야기 산문집 2015 / 지음: 이석원 / 그책
연필로 쓰기 연필로 쓰기 2019 / 지음: 김훈 / 문학동네
우리는 사랑 아니면 여행이겠지  : 최갑수의 여행하는 문장들 우리는 사랑 아니면 여행이겠지 : 최갑수의 여행하는 문장들 2016 / 지은이: 최갑수 / 예담
냇물아 흘러흘러 어디로 가니 : 신영복 유고 냇물아 흘러흘러 어디로 가니 : 신영복 유고 2017 / 지음: 신영복 / 돌베개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2
30대0
40대1
50대1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1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