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소설가 김정남이 <폐허, 이후>, <꿈꾸는 토르소>에 이어 펴낸 세 번째 평론집. 내용은 총 3부로 이루어졌고, 각 부별로 다른 색깔의 문학 작품을 비평하고 있다.
목차
책머리에_그대에게 가는 길
제1부 그대라는 이름의 집
우리 시대의 벌거벗은 생명들 ―법ㆍ국가ㆍ종교 담론의 관점에서
종말의 묵시록, 그 이후 ―근대문학 종언론 다시 읽기
우리 시단의 현단계 ―지상 좌담: 시의 매혹, 그 분광의 양상을 진단한다
제2부 그대라는 이름의 얼굴
내 거친 생각과 불안한 눈빛과 ―박세현 시집 『사경을 헤매다』
‘나는 없다’의 변주곡 ―박세현 시집 『본의 아니게』
시적 진실의 두 층위 ―이상국 시집 『뿔을 적시며』ㆍ홍일표 시집 『매혹의 지도』
슬픈 꿈을 찍다 ―고형렬 시집 『유리체를 통과하다』
타오르는 섬 ―이홍섭론
생을 자맥질하는 두 가지 체위 ―최종천 시집 『고양이의 마술』ㆍ한승엽 시집 『몰입의 서쪽』
공(空)으로 생(生)을 긷다 ―이명수 시집 『룽다(風馬)』
물(物)에 불어넣은 혼(魂)의 노래 ―홍순영 시집 『우산을 새라고 불러보는 정류장의 오후』
박인환 시의 모더니티 ―실존적 사회의식에서 낭만적 서정성까지
여행자의 초상 ―로힌턴 미스트리 『그토록 먼 여행』
제3부 그대라는 이름의 현신
나는 고문 받으며 노래하는 종족이다 ―심재상 시인의 근작시 혹은 슬픈 연금술사의 노래
불이법문(不二法門)의 세계 ―박용하 시인의 근작시에 대하여
저녁의 냄새 혹은 전락의 방식 ―이상국ㆍ하린 시인의 근작시에 대하여
조물(造物)의 서정 시학 ―배한봉 시인의 근작시에 나타난 은유의 의미망
나는 이동한다, 고로 존재한다 ―부재와 견딤, 권현형 시의 실전(實戰)에 관한 에세이
살아있는 시체들의 카니발 ―조동범 시의 비극적 황홀함
유배지에서 부르는 진혼곡 ―세상의 모든 아픔을 노래한 시인 김충규
시를 위한 시 ―이태수ㆍ김선우ㆍ김명기의 시
시의 함량 ―배한봉ㆍ이재훈ㆍ최종천의 시
빛과 어둠의 이중주 ―구효서의 「사자월」에 붙이는 사족
발표지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