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서문
Ⅰ. 머리말
Ⅱ. 문인화의 연원
1. 문인과 문인화
(1) 문인층의 형성
1) 주·한의 문인
2) 육조의 문인
3) 당·송의 문인
4) 원말·명·청의 문인
(2) 문인의 속성
2. 문인화의 특질
(1) 일반산수화
1) 중국의 일반산수화
2) 조선시대의 일반산수화
(2) 문인산수화
1) 중국의 문인산수화
2) 조선시대의 문인산수화
(3) 사군자화
1) 중국의 사군자화
2) 조선시대의 사군자화
(4) 묵죽화
1) 대나무의 상징성과 묵죽화의 발생
2) 한국의 묵죽화
Ⅲ. 한국 근대 영남문인화
1. 근대의 문인화
(1) 근대의 관문, 1900년 전후한 시기의 서화 상황
(2) 상해 화단과의 관계
(3) 김규진의 서화활동
1) 김규진의 서화
2) 김규진의 해강풍 묵죽화
(4) 민영익의 서화활동
1) 민영익의 서화
2) 민영익의 운미풍 묵난화
(5) 근대 영남문인화맥 형성
1) 교남시서화 연구회 설립 : 영남문인화맥 계보
2. 서병오의 문인화
(1) 서병오의 생애
(2) 서병오의 서예
(3) 서병오의 문인화
(4) 서병오의 묵죽화
1) 화보를 통한 학습
2) 포화 묵죽화풍의 수용
3) 서병오의 묵죽에 나타난 포화의 영향
4) 서병오의 독자적 묵죽화
3. 서동균의 문인화
(1) 서동균의 생애
(2) 서동균의 문인화
(3) 서동균의 묵죽화
1) 서동균의 묵죽에서 서병오적 요소
2) 서동균의 독자적 묵죽화
4. 김진만의 문인화
(1) 김진만의 생애
(2) 김진만의 문인화
(3) 김진만의 묵죽화
1) 서병오와 김진만의 묵죽화 비교
2) 김진만과 서동균의 묵죽화 비교
3) 김진만의 독자적 묵죽화
5. 기타 대구의 문인화과
Ⅳ. 김해의 문인화
1. 영남문인화의 한 축 김해의 문인화
2. 영남문인화 - 대구문인화맥
(1) 대구문인화맥에 대한 연구현황 - 서병오·배효원·김진만·서동균
3. 영남문인화 - 김해문인화맥
(1) 차산 배전 - 김해문인화맥의 개조
1) 생애와 교우
2) 후학
3) 배전의 문인화
(2) 우죽 배병민·아석 김종대 - 김해문인화맥의 중추
1) 우죽 배병민
2) 아석 김종대
(3) 수암 안병목 - 김해문인화맥의 지축
1) 생애와 교유
2) 안병목의 문인화
(4) 운정 류필현·한산당 화엄선사 - 김해문인화맥의 계승
1) 운정 류필현
2) 한산당 화엄선사
4. 김해문인화의 미술사적 의의
Ⅴ. 맺는 말
참고 문헌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