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민주주의를 어떻게 볼 것인가. 이 책은 민주주의에 대한 하나의 체계적인 시각으로 발전시키고자 한 공동 작업의 결실이다. 민주주의의 대표성과 책임성을 어떻게 담보할 것이냐 라는 근본적인 문제의식에서부터 14가지 테제를 통해 정리했다.
목차
서문
1부 한국 민주주의의 기원과 특징 1장 한국 민주주의,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고 있나? / 최장집 2장 우리에게 민주주의란 무엇인가 / 최장집
2부 민주주의를 둘러싼 갈등들 3장 민주주의에 대한 잘못된 이해를 넘어서 / 최장집 4장 진보적 지식인의 변형 / 최장집 5장 제도적 실천으로서의 민주주의 / 최장집
3부 우리는 한국 정치의 문제를 어떻게 보나 6장 민주 개혁파의 정당 개혁론 비판 : 열린우리당 사례를 중심으로 / 박찬표 7장 국민 경선제는 왜 민주주의 정치에 기여하지 못하는가? / 박수형 8장 제한적 경쟁의 제도화 : 1958년 선거법 체제 / 서복경 9장 정당이 아니라 정당 체제가 개방적이어야 하는 이유 / 박상훈
4부 한국 민주주의, 어디로 가야 하나 10장 책임 있는 정당정부를 위해 / 최장집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최장집의)한국민주주의론 = (The) theory of Korean democracy by Choi Jangjib2013 / 김정한 편저 / 소명출판
(최장집의)한국민주주의론 = (The) theory of Korean democracy by Choi Jangjib2013 / 김정한 편저 / 소명출판
이슬람과 민주주의 : 인도네시아 이슬람 단체 무함마디야의 민주적 전통 2021 / 지음: 김형준 / 눌민
지배당한 민주주의2018 / 지음: 김현철 / 르네상스
22세기 민주주의 : 알고리듬이 선거가 되고 고양이가 정치인을 대체한다 2024 / 지음: 나리타 유스케 ; 옮김: 서유진 , 이상현 / 틔움
대동민주주의와 21세기 유가적 비판이론의 모색 2023 / 지음: 나종석 / 예문서원
어셈블리 : 21세기 새로운 민주주의 질서에 대한 제언 2020 / 지음: 안토니오 네그리, 마이클 하트 ; 옮김: 이승준, 정유진 / 알렙
논쟁으로서의 민주주의 : 민주주의를 이해하는 문제에 관하여2013 / 최장집 ; 박찬표 ; 박상훈 ; 서복경 ; 박수형 지음 / 후마니타스
빛의 자녀들과 어둠의 자녀들 : 민주주의 옹호와 민주주의의 전통적인 방어에 대한 비판2017 / 라인홀드 니버 지음 ; 오성현 옮김 / 종문화사
다시 민주주의를 말한다 : 시민을 위한 민주주의 특강2010 / 도정일 ; 박원순 외 지음 / 휴머니스트
경제 이론으로 본 민주주의 : 민주주의에서 정당정치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2013 / 앤서니 다운스 지음 ; 박상훈, 이기훈, 김은덕 옮김 / 후마니타스
경제 이론으로 본 민주주의 : 민주주의에서 정당정치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2013 / 앤서니 다운스 지음 ; 박상훈, 이기훈, 김은덕 옮김 / 후마니타스
민주주의의 수수께끼2015 / 지음: 존 던 ; 옮김: 강철웅 ; 문지영 / 후마니타스
민주주의의 마법에서 깨어나라2015 / 지은이: 존 던 ; 옮긴이: 황미영 / 레디셋고
민주주의의 마법에서 깨어나라2015 / 지은이: 존 던 ; 옮긴이: 황미영 / 레디셋고
같이 빌린 책
한국 선거정치의 변화와 지속 : 이념, 이슈, 캠페인과 투표참여 = Developments in electoral politics of South Korea2010 / 강원택 지음 / 나남
이념의 정치와 한국의 선거 : 공간이론으로 본 한국의 대통령선거 = Politics of ideology and Korean elections : the spatial analysis of presidential elections2015 / 지음: 조성대 / 오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