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일제강점기부터 이명박 정부까지, 가난한 사람들은 어떻게 살아왔는가? 이 책은 빈민문제를 근본적인 지점에서 다시 생각해야 한다고 말한다. 빈민의 범주를 어떻게 잡아야 하는지부터 빈민이 언제부터 사회문제로 대두되기 시작했으며, 정부에서는 어떠한 정책들을 시행했는지 살펴봐야 한다는 것이다. 20년 넘게 빈민운동을 해온 저자 최인기는 이제까지 마주하고 투쟁했던 상황들을 고스란히 담았다.
목차
들어가는 글 _ 가난은 언제까지 계속될 것인가?
1부 대한민국 도시빈민운동사
1 극심한 사회변동 속 빈민의 등장 : 일제강점기부터 1950년대까지
빈민은 언제부터 있었는가?
노점상은 어떻게 형성됐는가?
해방과 한국전쟁이 낳은 도시빈민
2 판자촌의 형성과 광주대단지사건 : 1960년대
이농민들이 도시빈민으로
무허가 판자촌의 철거와 주택정책 시행의 이중성
빈민운동의 등장, 경기도 광주대단지사건
광주대단지사건은 무엇을 남겼나
3 시민 아파트의 등장과 빈민운동의 조직화 : 1970년대
서울시의 인구 증가와 시민 아파트의 등장
주택개량촉진에 관한 임시조치법의 시행
전라도 광주의 무등산타잔, 박흥숙
‘수도권 도시선교위원회’의 활동
1970년대 빈민운동이 남긴 것
4 재개발 사업의 본격화와 철거투쟁 : 전두환 정부
공영재개발과 합동재개발 사업
목동투쟁과 세입자 철거문제
사당동 판자촌과 철거지역의 청소년문제
도시재개발 반대의 산실, 상계동투쟁
인권 유린의 상징, 신당동
1980년대 철거민운동의 흐름
5 민주화 물결 속의 도시빈민운동 : 1980년대
국제행사와 줄이은 노점상 단속
노점상의 조직된 투쟁, 6·13대회
1980년대의 도시빈민연대운동
낙골교회와 혀 잘린 하나님
도시빈민연대 투쟁과 '전국빈민연합'의 결성
6 주택정책의 부흥과 빈민운동의 침체 : 노태우 정부
단군 이래 최고의 호황과 주택정책
돈암동의 영구임대주택 쟁책
폭력과 저항의 현장, 신정동
철거민들의 연이은 죽음
범죄와의 전쟁과 노점상 단속
명동성당에서의 36일간 투쟁
“이 한 몸 바쳐 노태우 정권에 경고한다”
도시빈민 후보의 총선 출마
노태우 정권의 도시빈민운동 약평
지역에서의 도시빈민운동
빈민 단체들의 결성과 해체
7 산업구조의 확대와 노점상 단속의 강화 : 김영삼 정부
허울 좋은 ‘신경제 5개년 계획’과 철거투쟁
문민정부의 노점상 회유정책
1급 중증 장애인 노점상, 최정환 열사
이덕인 열사의 의문사
단속반과 철거반은 처벌 대상에서 예외인가?
김영삼 정권 시기 도시빈민운동 약평
8 생산적 복지정책과 반빈곤운동의 등장 : 김대중 정부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도입과 반빈곤운동의 도약
장애인 노점상 최옥란 열사의 죽음과 장애인 이동권 투쟁
서민들을 위한 주택정책은 얼마나 실현됐는가?
‘국민의 정부’에도 철거는 자행됐다?
수원시 권선4지구의 철거투쟁
유통센터의 확산과 노점상
대전역 노숙인의 벗, 윤창영 열사의 분신
2002년 월드컵과 박봉규 열사 투쟁
9 청계천 복원공사 노점상 관리정책의 등장 : 노무현 정부
내 집 마련은 제2의 로또인가?
노무현 정부가 실시한 주택정책들은 무엇을 남겼나?
상도동 철거투쟁
경기도 오산시 수청동의 철거투쟁
경기도 고양시 일산구 풍동투쟁
인천 향촌마을의 투쟁
노점상인들은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가?
청계천 복원공사와 노점상 투쟁
‘국제노점상연합’의 출범
서울시의 ‘노점상관리동제대책’과 이근재 열사 투쟁
10 개발 중심의 정책과 ‘신빈곤층’의 확산 : 이명박 정부
이명박 정부의 부동산 정책
용산4가 다섯 철거민의 죽음
아버지는 빈민열사, 가족은 명동 철거민으로
포이동 266번지의 화재와 철거 현장
롯데월드 123층에 맞서 싸운 포장마차 10대
송파 가락시장의 현대화사업과 투쟁
재래시장의 현대화사업은 옳은 것인가?
노점 단속 시스템의 변화
2부 도시빈민운동, 어디로 가야하는가?
1 대한민국 도시빈민 현황
도시빈민을 보는 다양한 시각
상대적 과잉인구론과 비공식 부문 운동론
대한민국의 빈곤, 어느 정도인가?
국민은 모두 최소한의 생계를 보장받고 있는가?
비정규직의 차별과 최저임금 문제
빈곤의 확대는 가족의 해체로
2 복지정책 속 주거정책
복지정책은 어떻게 흘러왔는가
대한민국 주거정책, 무엇이 필요한가?
지역운동의 현주소
3 철거민운동과 노점상운동에는 무엇이 필요한가?
철거민은 누구인가?
철거민운동의 과제/ 노점상인은 누구인가?
노점상인의 계급적 지위는 무엇인가?
노점상은 기회주의적인 집단인가?
노점상운동에 필요한 네 가지
4 빈민운동 조직의 변화
철거민운동 조직의 발전과 분화
노점상운동 조직의 발전과 분화
2000년대의 새로운 반빈곤 연대운동, ‘빈곤사회연대’
5 도시빈민 활동가들은 누구인가?
왜 빈민활동가가 되었나?
빈민활동가 30명의 목소리를 듣는다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