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머리말
제1편 협동조합의 발생과 경제체제
제1장 협동조합 발생의 사회경제적 배경
제1절 협동조합 사상의 형성
제2절 엔클로저(Enclosure)운동과 협동조합
제3절 산업혁명과 협동조합
제4절 협동조합태동기의 경제사상
제5절 사회주의의 등장
제2장 경제체제와 협동조합 관
제1절 경제체제의 구분
제2절 협동조합운동의 접근방법
제3절 자본주의 협동조합 관
제4절 사회주의 협동조합 관
제5절 협동조합주의 협동조합 관
제3장 자본주의사회의 협동조합 발생
제1절 영국
제2절 독일
제3절 프랑스
제4장 사회주의 사회의 협동조합 발생과 변혁
제1절 사회주의 사회의 협동조합 발생
제2절 경제개혁과 협동조합
제5장 최근의 협동조합 운동
제1절 북미의 신세대협동조합
제2절 캐나다의 이해관계자협동조합
제3절 유럽의 협동조합기업
제2편 협동조합의 본질ㆍ원칙ㆍ기능
제6장 협동조합의 이념과 본질
제1절 협동조합 이념
제2절 협동조합의 정의
제3절 협동조합의 본질
제4절 협동조합과 다른 유사 조직체
제5절 협동조합의 가치
제7장 협동조합의 원칙
제1절 국제협동조합연맹(ICA)과 협동조합원칙
제2절 현대사회와 협동조합원칙
제3절 미농무성과 van Diepenbeck의 협동조합원칙
제4절 전통모형 협동조합 대 비례모형 협동조합
제8장 협동조합의 기능
제1절 경제적 기능
제2절 정치적 기능
제3절 사회적 기능
제4절 교육적 기능
제3편 협동조합과 정부
제9장 협동조합운동과 정부
제1절 협동조합의 정치적 중립의 원칙
제2절 협동조합운동과 정부
제10장 협동조합과 경제발전
제1절 국가발전과 협동조합
제2절 정부의 협동조합 지원방법
제4편 협동조합의 규모
제11장 협동조합 규모의 이론
제1절 협동조합 규모의 개념
제2절 협동조합의 적정규모
제3절 협동조합의 규모 확대 방법
제12장 협동조합의 적정규모
제1절 구매협동조합의 적정규모
제2절 판매협동조합의 적정규모
제5편 협동조합의 조직과 지배구조
제13장 협동조합의 조직
제1절 협동조합조직 유형과 기관
제2절 협동조합별 조직 유형
제14장 협동조합의 지배구조
제1절 협동조합 지배구조의 유형과 변화
제2절 각국 협동조합의 지배구조 형태
제6편 협동조합의 자본
제15장 협동조합의 자본조달
제1절 협동조합의 자본구성
제2절 협동조합의 자본조달방법
제16장 협동조합의 배당제도와 자금운용
제1절 협동조합 출자와 배당제도
제2절 협동조합의 자금운용
제7편 협동조합의 경영성과 분석
제17장 모수적 분석기법
제1절 협동조합사업의 재무 분석
제2절 CAMELS 모형
제18장 비모수적 분석기법
제1절 DEA 모형에 의한 경영효율성측정방법
제2절 AHP 모형에 의한 분석방법
제19장 협동조합 사업성장 요인분석
제1절 협동조합별 사업집중계수
제2절 사업전문화 지수
제3절 회귀분석에 의한 사업성장요인 분석
제4절 변화할당분석기법
제20장 협동조합사업의 시장구조분석
제1절 시장구조
제2절 시장행위
제3절 시장성과
제4절 사료산업의 시장 구조분석(사례)
제21장 협동조합 조합원만족도 분석방법
제1절 협동조합의 정성적 평가방법
제2절 협동조합의 정성적 조합원만족도 평가모형 개발
제3절 조합원만족도조사의 평가항목선정
제4절 조합과 조합원의 적정만족도 추정모델
제8편 사회적 경제와 협동조합
제22장 사회적 경제
제1절 사회적 경제의 사상적 배경과 개념
제2절 사회경제 섹터
제3절 비영리 공공부문
제4절 시민사회조직
제23장 사회적 기업
제1절 사회적 기업의 정의와 목적
제2절 사회적 기업의 유형
제3절 한국의 사회적 기업
제24장 사회적 협동조합
제1절 사회적 협동조합의 의의
제2절 사회적 협동조합의 이념과 가치
제3절 사회적 협동조합의 강점과 성공기준
제25장 협동조합 기본법과 협동조합
제1절 협동조합 기본법 제정배경
제2절 일반협동조합 관련 기본법
제3절 사회적 협동조합관련 기본법
제4절 협동조합기본법 요약 및 비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