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권번과 기생으로 본 식민지 근대성 : 일제강점기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발행연도 - 2013 / 황미연 지음 / 민속원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2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304297
-
ISBN
9788928504077
-
형태
301 p. 24 cm
-
한국십진분류
예술
>
공연예술 및 매체예술
>
-
카테고리분류
역사/문화
>
한국사
>
개화기/일제시대
책소개
기생이 지금까지는 방탕함과 문란함을 조장하는 편협한 예술가로 치부되었지만, 역사적, 사회적 변동의 기류를 통과하면서 예술가로, 사회인으로 주체적인 활동을 보여주었다는 새로운 시각을 견지해 보고자 하였다.
목차
머리말
제1장 서론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2. 연구사 검토
3. 연구방법 및 범위
4. 책의 구성
제2장 관기에서 근대적 기생으로 변화
1. 관기와 교방의 관계
2. 과도기적 기생의 특징
3. 소결
제3장 일제강점기 전라북도 권번의 조직
1. 전라북도 권번의 설립
2. 권번 운영의 근대성
3. 소결
제4장 전라북도 권번 교육의 식민지 근대성
1. 권번의 교육 및 예술 활동의 특징
2. 다양한 종목의 전개와 수용
3. 근대 예술교육기관으로의 정착
4. 소결
제5장 기생의 활동에 나타난 근대성
1. 근대적 연예산업의 형성과 구축
2. 새로운 정체성 형성과정에서의 갈등과 도전
3. 소결
제6장 결론
Abstract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부두연극단의 공연사와 공연미학
2014 / 저자: 김남석 / 연극과인간
일제강점기 유성기음반 속의 극.영화
1998 / 최동현 ; 김만수 공저 / 태학사
한국연극 바로보기
1999 / 최웅 ; 유태수 ; 이대범 공저 / 북스힐
韓劇의 原形을 찾아서 : 궁중의례 : 禮樂으로 다스린 나라의 지혜
2018 / 저자: 양혜숙, 윤광봉, 신현숙, 김종수, 조재모, 송지원, 백영자, 김종애, 김상보, 김태연 ; 엮음: 한국공연예술원 / 悅話堂
전통연행을 보는 또 하나의 시각
2022 / 지음: 허용호 / 高麗大學校 民族文化硏究院
전통극 : 우리들의 잃어버린 신명
1999 / 허은 지음 / 교보문고
스타니슬랍스키 시스템과 한국 극예술의 접점
2006 / 홍재범 지음 / 연극과인간
권번과 기생으로 본 식민지 근대성 : 일제강점기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2013 / 황미연 지음 / 민속원
중국 고대의 가무희
2001 / 김학주 저 / 명문당
중국연극사
2001 / 콜린 맥커라스 지음 ; 김장환 ; 하경심 ; 김성동 옮김 / 學古房
(중국) 설창예술의 이해
2014 / 저자: 정유선 / 學古房
일본연극사. 1
2001 / 가와타케시게토시 저 ; 이응수 역 / 청우
일본현대연극사 : 大正·昭和初期篇
2013 / 오자사 요시오 지음 ; 명진숙, 이혜정 옮김 / 연극과인간
일본현대연극사 : 大正·昭和初期篇
2013 / 오자사 요시오 지음 ; 명진숙, 이혜정 옮김 / 연극과인간
일본현대연극사. 明治·大正篇
2012 / 오자사 요시오 지음 ; 명진숙, 이혜정, 박태규 옮김 / 연극과인간
같은 주제의 책
한국 근대 극장예술과 취미 담론 = Modern Korean theatrical arts and the discourse of 'Chwimi(趣味)'
2012 / 문경연 지음 / 소명출판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