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자 서문
저자 서문
제1장 기존의 치과의학사(史)
1. 치과의학사의 두 유형
2. 현재의 역사
3. 요약
제2장 치과의원 찾아가기
제3장 치의학 대상의 창조
1. 구강병의 원인
2. 공중보건과 구강의 발견
제4장 집단의 입에 대한 모니터링
1. 예방 - 최대 다수에 대한 최대의 이익
2. 집단적 예방: 학교구강보건의 예
3. 케임브리지 사업
4. 개인 예방: 몸에 대한 훈육
5. ‘이상적 감독관’으로 뽑힌 치과환자
제5장 구강보건교육
1. 유용한 신체에 대한 훈련
2. 마음의 교육 - 20세기 중반까지
3. 개인에 대한 교육 - 20세기 중반 이후
4. 사회 교육
5. 치과의료제도와 교육
제6장 가정에서 치아를 관리하기
1. 치과 요원 - 자연스러운 어머니
2. 치과 요원 - 무지한 어머니
3. 치과 요원 - 책임감 있는 어머니
4. 도덕담론과 어머니의 책임
5. 돌보는 어머니 개념의 재구성
제7장 고통과 공포
1. 치과 진료실의 광경
2. 환자의 고통에 대한 인식 - 20세기 중반
3. 20세기 후반의 치의학적 경험
4. 사회적 공간에서 환자의 구성
5. 증례 연구 - 정신적·생리적 공간의 관찰
6. 역학 조사 연구 - 정신적·사회적 공간의 관찰
7. 사회적 공간의 관찰
제8장 설탕
1. 치아우식증의 원인
2. 실험실에서 학교와 가정으로 이동
3. 설탕 소비 - 정신 - 생리학적 문제
4. 설탕, 생태적 과제
제9장 현대 치의학과 주체
1. 관찰의 기법
2. 서로 다른 공간의 서로 다른 지식
3. 치의학의 대상과 주체
4. 현대 치과의학 - ‘돌봄’의 체계(Caring System)
5. 주체를 지지함
6. 예방 체제에서 전문직과 대중의 통합
7. 치의학과 사회학
제10장 치의학 연구와 푸코
1. 시선
2. 공간화
3. 개인의 구성
4. 규율적 권력
5. 추방 엔클로우저(exile enclosure)와 역병(plague)
6. 감시
7. 계보학
8. 방법론적 가정
9. 요약
제11장 푸코, 건강과 의료의 사회학
1. 푸코, 건강과 질병의 사회학
2. 비판
3. 의학에 관한 지식사회학
4. 상대주의의 문제
5. 페미니즘과 푸코
6. 감시, 건강 그리고 보건의료
7. 몸과 질병
8.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