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시인의 말
『어느 바람』시인의 말
일러두기
제1부
폐결핵
천은사운
심청부
다어
시인(時人)의 마음
초파일날
제주만조
묘지송
사치
신성노동절
해연풍
내 아내의 농업
애마 한쓰와 함께
저문 별도원에서
저녁 숲길에서
슬픈 씨를 뿌리면서
과육
국도
예감
도단
종로
투망
문의마을에 가서
청진동에서
휴전선 언저리에서
두만강으로 부치는 편지
우리나라의 들국화
삶
임종
무등의 노래
대장경
황사 며칠
입산
초대
보리밭
추석
화신북상
제2부
화살
만세타령
어느 방
차령산맥
걸레
오늘의 썰물
3월
자작나무숲으로 가서
구름에 대하여
릴레이
조국의 별
부활
아버지
선술집
가야 할 사람
수평선
내장산
변산
나들잇길
밥
입춘
동행
지나가며
기러기
입추 뒤
새벽
관광객
그리움
바람 시편
두 아낙
잉크
국화
역사로부터 돌아오라
제3부
먼 데
아기의 말
쌍무지개
태풍
산수유
난초 앞에서
다시 눈물
골리앗 크레인
상계동 가는 길
산기슭
영일만 1
이화령
올빼미
아기
소고기
웃음
주정뱅이
좌선(坐禪)
청개구리
뻐꾸기
별똥
내일
나무의 앞
폭염 이후
동네 가게에서
아리랑
어머니
서산 할머니
우리나라 음유시인
휴식
제4부
밤송이
하루
안성장 할머니 몇분
두엄자리 옆에서
어떤 대화
어떤 기쁨
꿈
다른 세상이 오고 있다
아기의 노래
다보여래의 댁
성철 스님 각령으로부터
폭포
나의 시
어느 기념비
빈손
네개의 날개
사자
귀향
노래
말
별
서산 가서
싸락눈
춤
가야산
노래섬
다시 보면
어떤 노래
히말라야 이후
샛강
어느 노동자
너무 거룩하지 않게
나그네
다음 골목
갑산
마라도
개마고원
조치원
평양
주을온천 가까이
단풍
서울 현저동 101번지
동해 북부
압록강
북청 사자춤
백령도
단군릉
상그리라
히말라야 기슭
술
고도 4천3백 미터쯤의 마을
황야
달라이 라마 동생
동부 히말라야
살 만한 세상
설산학(雪山鶴)
아기
순간의 꽃
제5부
숲의 노래
광장 이후
봄날은 간다
죽은 시인들과의 시간
두고 온 시
인사동
사과꽃
카리브 바다에서
공던지기
알혼 섬
쇠스랑
호언장담하고 돌아오며
아기의 노래
시
모방
일인칭은 슬프다
댕동강 앞에 서서
낙안읍
쪽지 하나
동굴 밖
흰나비
10월 19일
가을 답장
비닐봉지
그리움
평화 3
너에게
나무에게
유혹
눈 내리는 날
허공
집
라싸에서
선술집
달래 4대
어떤 신세타령
그 속삭임
개밥 주면서
고추잠자리 일기
꽃모종
동시발화(同時發話)
약력
총화를 위하여
시시한 날
공전(公轉)
그집
4행의 노래
태백으로 간다
포고
누가 묻더라
나의 삶
은파에서
경부고속도로 하행
시에게
함박눈 내리는 날
그 폭포 소리
2천년 이후
구름을 보다
길을 물어
내 변방은 어디 갔나
밤길
부탁
『어느바람』발문 / 백낙청
편자 후기
연보
작품 출전
엮은이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