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영화 미디어가 지닌 ‘성찰’의 잠재적 가능성을 조명한 책으로, 영화를 중심으로 수행한 영상 미디어 연구의 결과이다. 그리고 실제에 대해 경험적으로 접근하기보다 이론의 모델에 대한 논의에 치중하였다. 아울러 영상 미디어 연구의 대상이 무엇이며, 그것이 어떠한 관점과 방법을 바탕으로 이뤄지는 것인지 생각해보도록 했다.
목차
제1장 서론
1. 영상 미디어 연구의 난점들
2. 연구의 관점과 구성
1) 영상 미디어론의 두 가지 방향: 적용과 성찰
2) 문제, 구성, 개념: 성찰적 형상의 이론 모델
제2장 미디어와 영상
1. 미디어학의 관점
1) 미디어란 무엇인가?
2) 미디어의 논리: 잠재성과 우연성
3) 미디어의 성찰: 경계의 인지와 타성의 저항
2. 영화 미디어론의 역사적 관점: 초기 영화에서 서사 영화로
1) 초기 영화의 미디어: 구분의 미결정
2) 서사 영화의 발전: 영화 미디어의 퇴조
3. 영화 미디어론의 체계적 관점: 구조주의 영화론의 문제점과 대안
1) 현대적 영화 미디어론: 비판의 방향
2) 구조주의적 영화론의 비판점 1: 영화 기호의 복합성과 유동성
3) 사례 분석 1: '반전 영화'와 영상의 알리바이
4) 구조주의적 영화론의 비판점 2: 서사 욕망과 구조 변동
5) 사례 분석 2: <방자전>,『춘향전』의 저자는 방자?
제3장 성찰과 형상
1. 성찰론: 성찰론적 영화론의 이론적 배경과 의미
1) 성찰론의 배경 1: 근대적 주체에 대한 회의
2) 성찰론의 배경 2: 회의, 위험, 성찰
3) 영화 성찰성의 이해 1: 사실주의적 관찰 구조의 역전
4) 영화 성찰성의 이해 2: 회의의 자기 지시성
2. 형상론: 성찰과 기술적 영상
1) 영상 연구의 세 가지 방향: 언어의 대체, 수사적 부가, 성찰적 형상
2) 형상의 특성 1: 의미 앞에 놓인 영상
3) 형상의 특성 2: 사이 고안과 브리콜라주
4) 형상의 특성 3: 의미의 미결정과 구성의 과정
5) 사례 분석: 2000년 이후 한국 영화에 나타난 성찰적 형상
제4장 성찰 형상의 모델
1. 언표의 상상
1) 플루서의 영상: 기술적 영상으로서 상상
2) 푸코의 언표 개념: 화용론 vs. 생성론
3) 언표의 영상으로서 상상: 다른 체계로의 문턱
2. 언어의 성좌
1) 벤야민의 언어론과 성좌의 의미: 의미의 정신적 본질
2) 벤야민의 언어론과 영화의 의미: 요소의 분산
3) '영화 작업'의 성좌 모델: 독서의 <가장 위험한 게임>
3. 문자와 상형 문자
1) 데리다의 헤체론과 수행의 의미: 유희의 패러독스
2) 해체론적 영화론: <히로시마, 내 사랑>(Hiroshima=He/eros/she)
3) 재현의 위계질서: 기표의 부유와 네트워크
저자 후기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