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불교란 무엇인가? 불교는 왜 어려운가? 이중표 교수는 “우리가 사견(邪見)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고 대답한다. 우리가 사견을 가지고 세상을 잘못보고 있기 때문에, 정견으로 세상의 참모습을 이야기한 부처님의 말씀이 어렵게 들린다는 것이다. 따라서 저자는 불교를 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사견이 무엇인지를 알아서, 이러한 사견을 버리고 정견(正見)을 가져야한다고 강조한다.
목차
이 책을 읽는 분들께
책머리에
제1장 삼귀의
1. 삼귀의(三歸依)는 왜 하는가?
2. 불보(佛寶)란 어떤 것인가?
3. 법보(法寶)란 어떤 것인가?
4. 승보(僧寶)란 어떤 것인가?
5. 염불(念佛)은 왜 하는가?
제2장 부처님 당시의 인도사회
1. 부처님 당시의 인도사회는 어떠했는가?
2. 부처님 당시의 종교와 사상은 어떠했는가?
3. 불교와 자이나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제3장 정견正見
1. 부처님은 왜 침묵했는가? - 무기(無記)
2. 사견(邪見)을 없애는 방법은 무엇인가?
3. 사견(邪見)에서 정견(正見)으로
4. 부처님은 도덕을 실천한 윤리교사인가?
제4장 중도와 연기
1. 고행과 쾌락의 중간이 중도인가? - 고락중도(苦樂中道)
2. 단견(斷見)과 상견(常見)을 모두 버려라 - 단상중도(斷常中道)
3. 영혼과 육체는 동일한가, 다른가? - 일이중도(一異中道)
4. 있느냐, 없느냐 - 무유중도(有無中道)
제5장 사성제와 십이연기
1. 사성제(四聖諦)란 무엇인가?
2. 고성제의 실존철학적 의미 - 고성제(苦聖諦)
3. 실존의 원인 - 집성제(集聖諦)
4. 불교수행의 목표 - 멸성제(滅聖諦)
5. 열반에 이르는 길 - 도성제(道聖諦)
제6장 열반과 해탈
1. 열반이란 어떤 것인가?
2. 무아(無我)란 어떤 것인가?
3. 열반을 성취하면 죽은 후에 다시 태어나지 않게 되는가?
4. 해탈이란 어떤 것인가?
5. 구차제정(九次第定)과 해탈
제7장 육바라밀
1. 무소득(無所得)의 삶 - 보살의 길
2. 한 생명으로사는 삶 - 보시바라밀
3. 화합과 공존의 삶 - 지계바라밀
4. 자비원력(慈悲原力)의 삶 - 인욕바라밀
5. 중생교화의 삶 - 정진바라밀
6. 세간(世間)을 벗어나는 삶 - 선정바라밀
7. 끝없는 진리의 실현 - 반야바라밀
제8장 사홍서원
1. 원력(原力)으로 살아가는 무아(無我)의 삶
2. 무엇이 될 것인가, 어떻게 살 것인가? - 욕탐(欲貪)과 원(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