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앞으로 현대국가의 복지행정이 새로운 수요를 적극적으로 예측.대응해야 할 분야로서 생산적 복지를 전제로 하고, 이 틀 속에서 자원복지, 노인복지, 지역복지의 이론 체계를 해석학적 방법을 통해 다뤄 보았다.
목차
머리말
제1편 기본 전제 영역
제1장 현대 국가와 사회복지
제1절 현대 국가의 사회복지에 대한 관점
제2절 국가 개입의 사회복지 대두 요인
1. 산업화 과정에서 제기된 사회문제
2. 자본주의 고도화에 따른 사회문제
제2장 사회복지의 본원적 요소
제1절 사회복지의 개념
1. 복지철학의 관점
2. 복지 이념 및 기능적 관점
제2절 사회복지의 기준
1. 공식조직
2. 사회에 대한 책임성
3. 이윤 동기의 부재
4. 기능적 보편성
제3절 사회복지의 목적
1. 정상화 이념의 실현
2. 인간의 존엄성 확보
3. 자립적인 생활의 촉진
4. 사회 통합과 안정
제3장 사회복지의 역사
제1절 자발적 원조 체계의 시기
제2절 국가 개입 시기
1. 구빈법
2. 사회보험법
제3절 복지국가의 발전과 재편의 시기
1. 복지국가의 발전
2. 복지국가의 위기와 재편
제4절 한국 사회복지의 전개
1. 제도 태동기의 사회복지
2. 제도 형성기의 사회복지
3. 제도 변화기의 사회복지
4. 제도 정착기의 사회복지
제4장 사회복지의 변화 패러다임
제1절 종교적 패러다임
제2절 정치적 패러다임
제3절 경제적 패러다임
제4절 이념적 패러다임
제5절 전문적 패러다임
제6절 패러다임 변화 함의
제2편 복지행정의 주요 이론
제5장 복지행정의 본질
제1절 복지행정의 개념
제2절 복지행정의 위상과 성격
1. 사회복지의 개념적 차원
2. 사회복지의 기능 수행적 차원
제3절 복지행정의 두 측면
1. 목적가치의 측면
2. 수단가치의 측면
제4절 복지행정과 복지정책
1. 복지정책의 철학적 배경
2. 복지정책의 기본 요소
제6장 복지행정의 접근 인식
제1절 구조기능주의
1. 구조기능주의 관점
2. 구조기능주의 특성
3. 사회문제의 정의
4. 사회문제의 원인
5. 사회문제의 처방
제2절 갈등주의
1. 갈등주의 관점
2. 갈등주의 특성
3. 사회문제의 정의
4. 사회문제의 원인
5. 사회문제의 처방
제3절 학제적 접근 분야
1. 동기이론
2. 역할이론
3. 사회교환이론
4. 행정의 집권화 및 분권화
5. 정책결정모형
제7장 복지행정의 이념과 가치
제1절 복지행정의 이념
1. 사회적 형평성
2. 합법성
3. 민주성
4. 효율성
5. 공정성
제2절 복지행정의 가치
1. 평등
2. 자유
3. 민주주의
4. 사회적 연대성
5. 안정
6. 경제적 효율
제8장 복지국가의 발전 패러다임
제1절 복지국가의 정당성
제2절 복지국가의 유형
1. 적극국가
2. 사회보장국가
3. 사회복지국가
제3절 복지국가의 미래
1. 복지국가의 과제
2. 근로중심복지국가
제3편 복지행정의 정책 및 관리 체계
제9장 사회보장정책
제1절 형성 동기
제2절 형성구조와 이념적 가치
1. 형성구조
2. 이념적 가치
제3절 복지국가와 사회 보장의 운영 요소
1. 사회 보장과 복지국가
2. 운영 요소
제10장 사회 보장 체계
제1절 사회보험
1. 개괄
2. 체계와 내용
제2절 공공부조
1. 개괄
2. 기본 원리
3. 실시상의 원칙
4. 내용 체계
제3절 사회복지 서비스
1. 대두 배경 및 목적
2. 서비스의 특징 및 체계
제4절 공중위생
제11장 운영관리 체계
제1절 프로그램의 형성 변수 요인
1. 프로그램 구성상의 기준
2. 프로그램 운영상의 요인
제2절 프로그램 운영의 내용 영역
1. 욕구사정
2. 목표
3. 평가
4. 관리와 기법
5. 분석
제3절 프로그램 기획상의 행정진단
제12장 휴먼 서비스 전달 체계
제1절 전달 체계의 구성 요소
1. 개념적 틀
2. 복지행정의 휴먼 서비스 관점
3. 전달 체계의 성격 및 구조
4. 전달 체계 형성의 원칙
5. 전달 체계를 위한 조직설계
제2절 전달 체계의 특징과 문제점
1. 전달 체계의 특징적 경향
2. 전달 체계의 문제점
제3절 개선 방향 및 서비스의 전망
1. 개선 방향
2. 서비스의 전망
제4절 전달 체계의 함의
제4편 복지행정의 전망적 분야
제13장 생산적 복지
제1절 생산적 복지의 인식론적 관점
1. 대두 배경
2. 이데올로기의 연원과 개념
제2절 경제적 효율성과 사회적 형평성
1. 경제적 효율성의 가치
2. 사회적 형평성의 가치
제3절 생산적 복지의 성격 및 정책 진로와 제도적 장치
1. 성격 및 정책 진로
2. 제도적 장치
제4절 생산적 복지의 함의
제14장 자원복지
제1절 현대적 자원복지의 요소
1. 자원복지의 이념적 가치
2. 자원복지 활동
3. 자원복지기관
제2절 자원복지 활동의 구성적 범위
1. 가정의 역할을 촉진하는 활동
2. 시설 및 공공기관의 역할을 보조하는 활동
3. 일반 사회의 역할을 선도하는 활동
제3절 자원복지 활동의 활성화 방안
1. 자원복지 활동 영역의 체계화
2. 관련 활동 프로그램과 제도의 준비
3. 자원복지기관의 운영 모델
4. 자원복지 활동의 인적 자원
5. 자원복지 활동에 대한 육성책 마련
제15장 노인복지
제1절 고령화사회
제2절 노인문제의 인식
제3절 노인복지 서비스
1. 휴먼 서비스 관점
2. 목적과 가치적 측면
3. 수단과 기술적 측면
제16장 지역복지
제1절 지역복지의 이해
1. 지역복지의 개념 및 특성
2. 지역복지의 이념
3. 지방자치와 지역복지
4. 생태주의 관점과 지역복지
제2절 주민 참여와 지역복지
제3절 지역복지정책과 자원
1. 지역복지정책의 방향성
2. 지역복지자원의 동원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