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1부 민속음악 연행방식의 총체성과 세계관
연령층별 민요 부르기의 일생의례적 성격
1. 서론
2. 개체요를 분류·선택하는 접근 방식
3. 일생의례의 성격과 민요의 적층순환성
4. 민요의 교육과 활용을 위한 생태민요학
5. 결론
진도지역 상례를 통해서 본 의례와 놀이의 연행 미학
1. 총체극으로서의 진도상례
2. 죽음확인하기 혹은 죽음 알리기
3. 갈등 만들기와 죽음 달래기
4. 망자 보내기 혹은 갈등 해소하기
5. 상례놀이, 재생코드의 연행 의미
연행방식을 통해서 본 남도소리의 난장성
1. 서론
2. 남도소리와 판, 그리고 축제
3. 남도소리의 연행방식과 태도-끼워넣기와 겨루기
4. ‘판’으로서의 남도소리의 성격-난장성과 시나위성
5. 결론
2부 민속음악의 스토리텔링과 인터랙션
해물유희요의 스토리텔링과 섬사람들의 세계관
1. 해물유희요의 노래하기와 말하기
2. 해물유희요의 전승과 특성
3. 캐릭터의 스토리텔링과 굿판의 서사
4. 서남해 섬지역 굿판과 해물유희요의 세계관
닻배노래를 통해 본 어로요의 리듬 분화와 인터랙션
1. 서론
2. 닻배노래의 연행환경과 각편소리
3. 닻배노래의 리듬 분화와 인터랙션
4. 결론
민요의 혼자 부르기와 여럿이 부르기에 대하여
1. 혼자/여럿이 부르기에 주목하는 이유
2. 진도지역 유희요의 갈래 인식
3. 혼자 부르기와 여럿이 부르기의 말하기와 놀이하기 기능
4. 개체요와 단위요의 끼워 넣기와 겨루기
5. 남는 문제와 과제들
3부 타령과 춤, 그리고 의례
무안민속음악의 전통과 재창조
1. 들어가며
2. 무안반도의 장소적 특징과 문화접변
3. 무안민속음악 명인들의 음악전개와 부침浮沈
4. 무안민속음악의 재창조 전통과 지역성
5. 나가며
<진도북춤>의 유파별 특성을 통해서 본 놀이와 춤의 상관성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결과 및 논의
4. 결론 및 제언
남해신사 해신제 복원과 의례음악 연출 시론
1. 들어가며
2. 남해신사의 역사와 전통
3. 남해신사의 의례와 풍물구성의 전제
4. 의례음악 연출 방향
5. 마무리하며
4부 남도민속음악, 연행자와 연행판
서남해지역 민속음악의 무속기반과 재창조 전통
1. 들어가며
2. 서남해의 지리·문화적 범주
3. 서남해 민속음악 관련 무속 연행자와 신청神廳
4. 신청神廳 사람들의 활동과 산조음악의 전개
5. 서남해 판소리 광대와 창극 재창조 작업
6. 마무리하며
서남해지역 민속음악의 전개 양상과 연행자
1. 당제와 풍물연희의 전개
2. 민요와 민속놀이의 전개
3. 민속음악의 재창조 전통
소포만의 간척기 민속음악 변화연구
1. 서론
2. 소포만의 역사와 지리적 배경
3. 소포만의 간척과 새마을 운동
4. 무형문화재지정과 민속음악의 변화
5. 민속음악 변화의 시·공간적 맥락
6.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