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제1장에서는 응용의 기초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식물의 천연물 생합성 경로와 영양학적 기본이 되는 유기영양소의 종류와 특성 및 2차대사산물을 중심으로 한 기능성물질을 다루었다. 제2장에서는 광범위한 식용식물의 주요 영양소의 종류와 함량을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의 식품분석표를 토대로 건강상 중요한 주요 아미노산, 포화지방과 불포화지방, 수용성과 불수용성의 식이섬유 및 미네랄과 비타민을 표로 일괄 정리하여 영양생활적 측면에서도 실제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목차
제1장 식물의 천연물
제1절 천연물의 생합성 경로
1. 탄소동화 작용과 호흡작용
2. 2차대사산물 합성
제2절 탄수화물(Carbohydrate)
1. 단당류
2. 올리고당류
3. 다당류
제3절 지질(Lipid)
1. 지질의 분류
2. 지방산
3. 단순지질
4. 복합지질
5. 유도지질
제4절 단백질(Protein)
1. 아미노산
2. 단백질
제5절 비타민(Vitamin)
1. 비타민의 특징
2. 주요 비타민
제6절 2차대사산물(Secondary metabolite)
1. Phenol 화합물
2. 테르펜
3. 알칼로이드
4. 파이토알렉신과 타감물질
제2장 식용식물
제1절 전분식물
1. 곡류
2. 근경 전분식물
제2절 유자원식물과 콩류
1. 유자원식물
2. 콩류
제3절 채소류 및 조류
1. 엽채류
2. 근채류
3. 과채류
4. 산채류
5. 조류
제4절 과일류 및 견과류
1. 과일류
2. 견과류
제5절 향신료 및 기호식물
1. 향신료
2. 기호식물
제3절 약용식물
제1절 약용식물의 일반적 특징
1. 약용식물의 분류
2. 약용식물의 성분
3. 약재의 수요적 용도
제2절 본초의 종류
1. 복합작용제
2. 강심제
3. 항고혈압제
4. 항협심증제
5. 항콜레스테롤 혈증제
6. 진정 및 진경제
7. 진통제
8. 해열제
9. 건위제 및 소화촉진제
10. 완화제
11. 지사제
12. 이담제 및 항간염제
13. 보양강장제
14. 진해제
15. 거담제
16. 조혈제
17. 지혈제
18. 이뇨제
19. 자궁작용제
20. 항당뇨제
제4장 허브
제1절 허브의 용도
1. 식용허브
2. 허브차
3. 약용허브
4. 허브 화장품
5. 허브 공예
6. 허브가든
제2절 향기요법(Aromatherapy)
1. 향기요법
2. 정유
3. 응용 향기요법
제3절 허브의 종류
제5장 식물 자원의 개발
제1절 공업용식물
1. 섬유식물
2. 공예식물 및 제지식물
3. 염료 및 도료식물
제2절 오염 정화식물
1. 수질오염 정화식물
2. 토양오염 정화식물
3. 대기오염 정화식물
4. 실내오염 정화식물
제3절 자원식물
1. 자원식물 현황
2. 우리나라 자원식물
제6장 자원식물의 품질관리
제1절 자원식물의 품질 평가방법
1. 자원식물의 품질
2. 평가대상
3. 성분 분석방법
제2절 약용식물의 품질평가
1. 약용식물의 규격
2. 약재의 채취와 가공
3. 본초의 법제
4. 약물의 제형
5. 약재의 저장과 관리
6. 약재의품질 검사
제7장 식물조직 배양
제1절 미세번식과 인공종자
1. 미세증식법
2. 인공종자
제2절 기내 육종과 형질전환
1. 기내 육종
2. 형질전환
제3절 유용 물질 생산
1. 기내 유용물질 생산 방법
2. 산업적 2차대사산물
제4절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배양체 생산
1. 식물배양기의 종류와 특성
2. 식물반응기의 구성 및 장치
3. 배양 공정
4. 식물 배양체 생산
제5절 형질전환 식물체의 이용
1. 재배 수월성 작물 개발
2. 고부가 가치 작물 개발
3. 식물분자농업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