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어판 서문
서문 - 중국과 그 근대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제1장 아시아에 대한 상상의 정치학
들어가며 : 새로운 아시아를 위한 전제 조건
1. 아시아와 동양 : 파생되는 명제
2. 인민주의와 ‘아시아’의 이중성
3. 사회혁명의 시각에서 ‘대아시아주의’
4. 근대의 역사 서술 속의 아시아 : 해양과 대륙, 국가와 네트워크
결어 : 하나의 ‘세계 역사’라는 문제 - 아시아, 제국, 민족국가
제2장 대상의 해방과 근대에 대한 물음 - 『근대 중국 사상의 흥기』에 대한 몇 가지 성찰
이끄는 글
1. 세 가지 개념쌍 : 제국과 국가, 봉건과 군현, 예악과 제도
2. 역사 서술에서의 국가와 제국
3. 역사의 ‘연속과 단절’이라는 논제에서의 정치적 합법성의 문제
4. 민족주의 지식의 구조와 그에 대한 물음
제3장 동양과 서양, 그 사이의 ‘티베트 문제’ - 오리엔탈리즘, 민족의 지역자치 그리고 존엄의 정치
이끄는 글
1. 두 가지 오리엔탈리즘의 환영幻影
2. 식민주의와 민족주의의 변주
3. 민족지역자치와 ‘다원일체’의 불완전성
4. ‘혁명 이후’, 발전과 탈정치화
5. 종교사회, 시장 확장 그리고 인구 이동
6. ‘승인의 정치’와 다민족 사회의 평등 문제
7. 항의운동은 존엄의 정치다
제4장 류큐 : 전쟁의 기억, 사회운동, 그리고 역사해석
1. 홋카이도에서 류큐까지
2. 류큐의 전쟁기억
3. 전쟁과 냉전 그리고 류큐 정체성의 정치성
4. 두 가지 정체성 정치와 ‘미국성美國性’
5. ‘류큐 문제’를 통해 전 지구적 자본주의 꿰뚫어 보기
6. ‘류큐 문제’, 지역 관계 그리고 19∼20세기 국제규clr의 거대한 변화
7. 제국주의적 국제법의 최초 운용
8. 민족해방운동과 새로운 지역(국제관계)의 상상
9. 냉전의 조짐 : 카이로회담과 제2차 세계대전 종결 후 류큐의 지위
10. 류큐의 애매성과 정치적 선택
제5장 지방 형식ㆍ방언과 항일전쟁 시기 ‘민족 형식’ 논쟁
이끄는 글
1. ‘민족 형식’으로서의 ‘중국적 스타일’과 ‘중국적 기질’
2. ‘지방 형식’ 개념의 제기와 그 배경
3. ‘지방성’과 ‘전국성’ 문제
4. 방언 문제와 근대 언어운동
5. ‘5·4’ 백화문운동에 대한 부정의 부정
제6장 트랜스시스템사회와 방법으로서의 지역
이끄는 글
1. 두 가지 지역주의 서사
2. 지방성의 비지방성 : 안정과 이동의 변증법
3. 지역의 중심-주변과 그 상대화
4. 두 가지 혹은 여러 갈래의 신세력
5. 시공 구조의 차별성
6. 횡적 시간과 정치 문화의 비인격화
옮긴이 해제 - ‘아시아의 근현대’ 속에서 ‘세계의 문제’를 발견하다
찾아보기(주요 인명·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