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장 서론
1-1 들어가며
1-2 연구의 이론적 배경
1-2-1 담화분석과 화용론
1-2-2 언어사용 원리의 이론
1-2-3 언어사용 상황의 이론
1-3 한·일 발화말 생략표현의 연구동향
1-3-1 일본어 발화말 생략표현의 연구동향
1-3-2 한국어 발화말 생략표현의 연구동향
1-3-3 발화말 생략표현의 대조연구동향
1-3-3-1 대응방법의 비교
1-3-3-2 거절 장면에서의 비교
1-4 연구목적
제2장 연구 범위
2-1 발화말 생략표현의 범위
2-1-1 발화말 생략표현의 용어
2-1-2 선행연구에서의 발화말 생략표현의 범위
2-1-3 발화말 생략표현의 범위에 대한 논의
2-1-4 발화말 생략표현의 발화말 형식
2-1-5 본 연구의 발화말 생략표현의 범위 기준
2-2 본 연구의 사용상황
2-2-1 기능
2-2-2 발화 스타일
2-3 분석자료
제3장 영화에서 한·일 발화말 생략표현의 대응 관계(연구1)
3-1 선행연구 및 이론적 배경
3-2 연구목적
3-3 연구방법
3-3-1 분석자료
3-3-2 분석방법
3-3-3 분석 대상의 발화말 생략표현
3-4 결과 및 고찰
3-4-1 ‘술부가 있는 경우’의 대역패턴과 빈도
3-4-2 ‘술부가 없는 경우’의 대역패턴과 빈도
3-4-3 한·일 발화말 생략표현의 특징
제4장 영화에서 한·일 발화말 생략표현의 사용상황(연구2)
4-1 선행연구 및 이론적 배경
4-2 연구목적
4-3 연구방법
4-3-1 분석자료
4-3-2 분석방법
4-3-3 분석 대상의 발화말 생략표현
4-4 결과 및 고찰
4-4-1 ‘술부가 있는 경우’의 사용상황
4-4-1-1 ‘정중체’ 스타일에서 기능의 사용법
4-4-1-2 ‘보통체’ 스타일에서 기능의 사용법
4-4-2 ‘술부가 없는 경우’의 사용상황
4-4-2-1 ‘정중체’ 스타일에서 기능의 사용법
4-4-2-2 ‘보통체’ 스타일에서 기능의 사용법
제5장 한·일 모어화자의 발화말 생략표현의 의식(연구3)
5-1 선행연구 및 이론적 배경
5-2 연구목적
5-3 연구방법
5-3-1 분석자료
5-3-2 분석방법
5-3-3 분석 대상의 발화말 생략표현
5-4 결과 및 고찰
5-4-1 한·일 모어화자의 발화말 생략표현의 의식
5-4-1-1 윗사람이면서 소원한 관계
5-4-1-2 동년배이면서 친한 관계
5-4-2 대인관계로 본 한·일 발화말 생략표현의 의식
5-4-2-1 한·일 각각의 의식
5-4-2-2 한·일 발화말 생략표현의 의식과 대인관계와의 관련성
5-4-3 기능으로 본 한·일 발화말 생략표현의 의식
5-4-3-1 기능별로 본 한·일 발화말 생략표현의 의식
5-4-3-2 한·일 발화말 생략표현의 의식과 기능의 관련성
제6장 전화상의 대화에서 한·일 발화말 생략표현의 발생이유와 발화말 형식(연구4)
6-1 선행연구 및 이론적 배경
6-2 연구목적
6-3 연구방법
6-3-1 분석자료
6-3-2 분석방법
6-3-3 분석 대상의 발화말 생략표현
6-4 결과 및 고찰
6-4-1 한·일 발화말 생략표현의 기능
6-4-1-1 행위요구
6-4-1-2 정보요구
6-4-1-3 정보제공
6-4-1-4 의지표시
6-4-2 한·일 발화말 생략표현의 발화말 형식
6-4-3 한·일 발화말 형식의 발생이유와 사용상황
6-4-3-1 발생이유
6-4-3-2 발생이유와 기능과의 관련성
6-4-3-3 발생이유와 발화 스타일과의 관련성
제7장 일본어‘けど’로 끝나는 발화의 사용법(연구5)
7-1 선행연구 및 이론적 배경
7-2 연구목적
7-3 연구방법
7-3-1 분석자료
7-3-2 분석방법
7-3-3 분석 대상의 ‘けど’로 끝나는 발화
7-4 결과 및 고찰
7-4-1 ‘けど’로 끝나는 발화의 두 분류
7-4-2 생략의 ‘けど’로 끝나는 발화의 기능
7-4-2-1 비실현을 나타내는 경우
7-4-2-2 납득하지 못함을 나타내는 경우
7-4-2-3 상대방에 대한 작용을 나타내는 경우
7-4-3 완결의 ‘けど’로 끝나는 발화의 기능
7-4-3-1 발화완화의 경우
7-4-3-2 대화편집의 경우
7-4-3-3 대화촉진의 경우
7-4-4 장면으로 본 ‘けど’로 끝나는 발화
7-4-4-1 자연담화 자료의 장면
7-4-4-2 장면에서의 ‘けど’로 끝나는 발화의 사용법
제8장 결론
8-1 한·일 발화말 생략표현의 사용법
8-2 한·일 발화말 생략표현의 사용법의 요소
8-3 본 연구의 의의
8-4 일본어 교육에의 시사점
8-5 향후 과제
참고문헌
찾아보기
부록
부록1: 한·일 설문지 담화자료
부록1-1:설문지 담화자료(한국어)
부록1-2:설문지 담화자료(일본어)
부록2: 한·일 영화 자료
부록2-1:한국영화-8월의 크리스마스
부록2-2:일본영화-四月物語
부록3: 한·일 전화상의 대화 자료
부록3-1:한국어 대화
부록3-2:일본어 대화
부록4: 일본어 자연담화 자료(직장에서의 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