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착도서

  • 일본어교육과 담화분석
  • 일본어교육과 담화분석

    발행연도 - 2010 / 曺英南 著 / 문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2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254534
    • ISBN 9788996411123
    • 형태 294 p. 23 cm
    • 한국십진분류 언어 > 일본어 및 기타 아시아제어 >
    • 카테고리분류 에세이/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세계문학론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머리말

제1장 서론
1-1 들어가며
1-2 연구의 이론적 배경
1-2-1 담화분석과 화용론
1-2-2 언어사용 원리의 이론
1-2-3 언어사용 상황의 이론
1-3 한·일 발화말 생략표현의 연구동향
1-3-1 일본어 발화말 생략표현의 연구동향
1-3-2 한국어 발화말 생략표현의 연구동향
1-3-3 발화말 생략표현의 대조연구동향
1-3-3-1 대응방법의 비교
1-3-3-2 거절 장면에서의 비교
1-4 연구목적

제2장 연구 범위
2-1 발화말 생략표현의 범위
2-1-1 발화말 생략표현의 용어
2-1-2 선행연구에서의 발화말 생략표현의 범위
2-1-3 발화말 생략표현의 범위에 대한 논의
2-1-4 발화말 생략표현의 발화말 형식
2-1-5 본 연구의 발화말 생략표현의 범위 기준
2-2 본 연구의 사용상황
2-2-1 기능
2-2-2 발화 스타일
2-3 분석자료

제3장 영화에서 한·일 발화말 생략표현의 대응 관계(연구1)
3-1 선행연구 및 이론적 배경
3-2 연구목적
3-3 연구방법
3-3-1 분석자료
3-3-2 분석방법
3-3-3 분석 대상의 발화말 생략표현
3-4 결과 및 고찰
3-4-1 ‘술부가 있는 경우’의 대역패턴과 빈도
3-4-2 ‘술부가 없는 경우’의 대역패턴과 빈도
3-4-3 한·일 발화말 생략표현의 특징

제4장 영화에서 한·일 발화말 생략표현의 사용상황(연구2)
4-1 선행연구 및 이론적 배경
4-2 연구목적
4-3 연구방법
4-3-1 분석자료
4-3-2 분석방법
4-3-3 분석 대상의 발화말 생략표현
4-4 결과 및 고찰
4-4-1 ‘술부가 있는 경우’의 사용상황
4-4-1-1 ‘정중체’ 스타일에서 기능의 사용법
4-4-1-2 ‘보통체’ 스타일에서 기능의 사용법
4-4-2 ‘술부가 없는 경우’의 사용상황
4-4-2-1 ‘정중체’ 스타일에서 기능의 사용법
4-4-2-2 ‘보통체’ 스타일에서 기능의 사용법

제5장 한·일 모어화자의 발화말 생략표현의 의식(연구3)
5-1 선행연구 및 이론적 배경
5-2 연구목적
5-3 연구방법
5-3-1 분석자료
5-3-2 분석방법
5-3-3 분석 대상의 발화말 생략표현
5-4 결과 및 고찰
5-4-1 한·일 모어화자의 발화말 생략표현의 의식
5-4-1-1 윗사람이면서 소원한 관계
5-4-1-2 동년배이면서 친한 관계
5-4-2 대인관계로 본 한·일 발화말 생략표현의 의식
5-4-2-1 한·일 각각의 의식
5-4-2-2 한·일 발화말 생략표현의 의식과 대인관계와의 관련성
5-4-3 기능으로 본 한·일 발화말 생략표현의 의식
5-4-3-1 기능별로 본 한·일 발화말 생략표현의 의식
5-4-3-2 한·일 발화말 생략표현의 의식과 기능의 관련성

제6장 전화상의 대화에서 한·일 발화말 생략표현의 발생이유와 발화말 형식(연구4)
6-1 선행연구 및 이론적 배경
6-2 연구목적
6-3 연구방법
6-3-1 분석자료
6-3-2 분석방법
6-3-3 분석 대상의 발화말 생략표현
6-4 결과 및 고찰
6-4-1 한·일 발화말 생략표현의 기능
6-4-1-1 행위요구
6-4-1-2 정보요구
6-4-1-3 정보제공
6-4-1-4 의지표시
6-4-2 한·일 발화말 생략표현의 발화말 형식
6-4-3 한·일 발화말 형식의 발생이유와 사용상황
6-4-3-1 발생이유
6-4-3-2 발생이유와 기능과의 관련성
6-4-3-3 발생이유와 발화 스타일과의 관련성

제7장 일본어‘けど’로 끝나는 발화의 사용법(연구5)
7-1 선행연구 및 이론적 배경
7-2 연구목적
7-3 연구방법
7-3-1 분석자료
7-3-2 분석방법
7-3-3 분석 대상의 ‘けど’로 끝나는 발화
7-4 결과 및 고찰
7-4-1 ‘けど’로 끝나는 발화의 두 분류
7-4-2 생략의 ‘けど’로 끝나는 발화의 기능
7-4-2-1 비실현을 나타내는 경우
7-4-2-2 납득하지 못함을 나타내는 경우
7-4-2-3 상대방에 대한 작용을 나타내는 경우
7-4-3 완결의 ‘けど’로 끝나는 발화의 기능
7-4-3-1 발화완화의 경우
7-4-3-2 대화편집의 경우
7-4-3-3 대화촉진의 경우
7-4-4 장면으로 본 ‘けど’로 끝나는 발화
7-4-4-1 자연담화 자료의 장면
7-4-4-2 장면에서의 ‘けど’로 끝나는 발화의 사용법

제8장 결론
8-1 한·일 발화말 생략표현의 사용법
8-2 한·일 발화말 생략표현의 사용법의 요소
8-3 본 연구의 의의
8-4 일본어 교육에의 시사점
8-5 향후 과제

참고문헌
찾아보기

부록
부록1: 한·일 설문지 담화자료
부록1-1:설문지 담화자료(한국어)
부록1-2:설문지 담화자료(일본어)
부록2: 한·일 영화 자료
부록2-1:한국영화-8월의 크리스마스
부록2-2:일본영화-四月物語
부록3: 한·일 전화상의 대화 자료
부록3-1:한국어 대화
부록3-2:일본어 대화
부록4: 일본어 자연담화 자료(직장에서의 대화)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서비스 중국어 회화 서비스 중국어 회화 2013 / 박금청 ; 이미화 ; 양희옥 공저 / 진샘미디어
확 차이나 중국어 확 차이나 중국어 2000 / 박정규 지음 / 책마루
길거리 중국어 길거리 중국어 2001 / 박창근 저 / 다락원
중국어회화 쉬운 프리토킹 중국어회화 쉬운 프리토킹 1998 / 張寧志 著 ; 김현주 편역 / 시사에듀케이션
간단한 중국어표현 5000 간단한 중국어표현 5000 1999 / 차경섭 ; 최정선 공편 / 학일출판사
중국어와 광동어 중국어와 광동어 2012 / 이영규 저 / 학고방
나 홀로 일본어 나 홀로 일본어 1997 / 이재두 ; 허초 공저 / 시사영어사
일본어교육과 담화분석 일본어교육과 담화분석 2010 / 曺英南 著 / 문
인터넷 기반 일본어교육의 가능성과 연구 방법 인터넷 기반 일본어교육의 가능성과 연구 방법 2011 / 천호재 지음 / 한국문화사
(JLPT 일본어능력시험) 한권으로 끝내기: N3 (JLPT 일본어능력시험) 한권으로 끝내기: N3 2021 / 지음: 이치우, 北嶋千鶴子 / 다락원
훈독(訓讀み)을 통해 본 일본의 한자문화와 동아시아의 한자문화 훈독(訓讀み)을 통해 본 일본의 한자문화와 동아시아의 한자문화 2012 / 사사하라 히로유키 저 ; 이건상 ; 인천대일본한자문화연구회 역 / 인문사
근대어의 탄생과 한문  : 한문맥과 근대 일본 근대어의 탄생과 한문 : 한문맥과 근대 일본 2010 / 사이토 마레시 지음 ; 황호덕 ; 임상석 ; 류충희 옮김 / 현실문화연구
일본어 한자 입문 일본어 한자 입문 1996 / 伊藤芳照 著 ; 相田慶浩 ; 金裕鴻 共譯 / 시사영어사
(한자로 익히는) 중급 일본어  : 일본어 한자, 이제는 쉽게 배우자! (한자로 익히는) 중급 일본어 : 일본어 한자, 이제는 쉽게 배우자! 2013 / 지은이: 임명수 ; 차일근 ; 최석완 ; 이마이 히사요시 ; 하야시 도모코 / 어문학사
일본어의 어휘론 이해 일본어의 어휘론 이해 2012 / 薛根洙 著 / 신아사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KJL 일본어학 개론  = (An) introduction to Japanese linguistics KJL 일본어학 개론 = (An) introduction to Japanese linguistics 2013 / 조남성 ; 서홍 ; 조선영 ; 최진희 저 / 책사랑
일본어 문형연습 일본어 문형연습 2005 / 홍민표 저 / 계명대학교출판부
일본어학의 세계 일본어학의 세계 2002 / 강인선 외저 / 박이정
(이해하기 쉬운) 言語學 (이해하기 쉬운) 言語學 2004 / 定延利之 지음 / 語文學社
과거의 목소리 : 18세기 일본의 담론에서 언어의 지위 과거의 목소리 : 18세기 일본의 담론에서 언어의 지위 2017 / 사카이 나오키 지음 ; 이한정 옮김 / 그린비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0
40대0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0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