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언어와 풍경 : 한국 현대시의 다양한 시선과 표정
발행연도 - 2010 / 남기혁 지음 / 소명출판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2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255201
-
ISBN
9788956264844
-
형태
492 p. 24 cm
-
한국십진분류
문학
>
한국문학
>
시
-
카테고리분류
에세이/시/희곡
>
한국문학
>
한국문학의 이해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김소월, 정지용, 임화, 서정주 등 식민지 시대 시인들의 작품에 나타난 풍경과 시선, 그리고 언어의 문제를 계보학적 방법으로 추적한 연구서. 저자는 1920년 무렵부터 본격화된 도시 풍경과 그것이 초래한 시각의 충격 및 감각의 혼란에 주목한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1부_ 1920년대의 도시풍경과 김소월
김소월 시에 나타난 경계인의 내면 풍경 : 새로 발굴된 초기시 세 편을 중심으로
1. 들어가는 말
2. 식민지적 근대 공간을 방황하는 피식민 주체의 불안한 시선
3. 전통주의적 전회-근원적 세계를 향한 시선의 이동
4. 전통의 세계에서 들려오는 이질적인 목소리
5. 맺음말-김소월 문학에서 초기시 세 편이 지니는 의미
김소월 시의 근대와 반근대 의식
1. 들어가는 말
2. 혼종의 시·공간으로서의 고향
3. 식민지적 근대화와 피식민 주체의 자기발견
4. 이질적인 목소리의 표출방식-민요·민담·주술의 언어
5. 맺음말
1920년대 시에 나타난 도시체험 : 도시풍경과 이념적 시선, 미디어의 문제를 중심으로
1. 들어가는 말
2. 도시 풍경의 출현과 우울한 시선의 탄생
3. 이국 도시의 체험-식민지 지식인의 분열된 자의식
4. 미디어와 도시풍경-풍경의 관찰과 기록, 그리고 이념적 시선의 획득
5. 맺음말
김소월의 시에 나타난 근대 풍경과 시선의 문제 : 식민지적 근대와 시선의 계보학(1)
1. 들어가는 말
2. 식민지적 근대 도시 풍경의 탄생
3. 김소월의 우울-원근법적 시선의 부재와 헤매는 영혼
4. '조선 생명'된 고민과 '보는' 주체의 확립
5. 맺음말
2부_ 식민지적 근대와 맞서는 언어의 풍경
정지용 초기시의 '보는' 주체와 시선(視線)의 문제 : 식민지적 근대와 시선의 계보학(2)
1. 들어가는 말
2. '거리'의 상상력-파노라마적 풍경과 위축된 영혼의 분열된 시선
3. 파노라마적 풍경의 기원-초기「바다」시편에 나타난 '여행'의 의미
4. '유리창' 혹은 유폐된 공간에 갇힌 풍경과 초월적 시선의 탄생
5. 맺음말
임화 시에 나타난 근대 풍경과 이념적 시선의 변모과정 : 식민지적 근대와 시선의 계보학(3)
1. 들어가는 말
2. 전위주의 시에 나타난 탐색의 시선-풍경으로서의 서울, '장소'로서의 서울
3. 거리의 상상력과 이념적 시선-타자의 발견, 연대의 모색
4. '현해탄'을 바라보는 성찰적 시선-풍경의 시간화와 역사화
5. 맺음말
정지용 중·후기시에 나타난 풍경과 시선, 재현의 문제 : 식민지적 근대와 시선의 계보학(4)
1. 들어가는 말
2. 램프의 '눈'과 절대적 타자로서의 신-초월적 시선의 완성
3. 동양적 산수의 발견-기행시에 나타난 풍경과 시선
4. 나비의 겹눈과 상징적 죽음-기행산문시에 나타난 심미주의적 부정의식
5. 맺음말
시어로서의 '조선어=민족어'의 풍경과 시단의 지형도 : 1930년대 중후반 임화의 시와 평론을 중심으로
1. 들어가는 말-임화라는 프리즘
2. 논의의 출발점「지상의 시」에 대한 해석 문제
3. '민족어'와 '계급성', 그리고 '현실성'의 관계
4. 시단의 지형도-특히 방언과 지방주의의 문제
5. 맺음말
서정주의 동양 인식과 친일의 논리
1. 들어가는 말
2. 자기변명의 논리와 기억의 편집
3. 그리스적 육체성에서 동양정신으로의 회귀
4. '국민시'론의 내적 논리와 친일 이데올로기
5. '국민'의 목소리와 역사의 심미화
6. 맺음말
3부_ 전후의 시대 풍경과 시적 주체의 대응
한국 전후시에 나타난 '가족' 모티브 연구
1. 들어가는 말
2. 가족의 위기, 위기의 가족-전쟁의 광기와 폭력
3. 아버지에 대한 부정과 가족주의 비판
4. 가족공동체의 회복과 아버지 되기의 욕망
5. 어머니와 누이-모성적인 것에 대한 욕망
6. 맺음말: 전후시와 가족의 의미
웃음의 시학과 탈근대성 : 전후 모더니즘 시를 중심으로
1. 들어가는 말-주체의 분열과 웃음의 전략
2. 냉소적 주체의 현실 비판과 풍자적 웃음
3. 김수영 시의 자조와 냉소적 주체의 자기극복
4. 냉소적 웃음을 넘어서는 사랑
5. 맺음말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