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역사문제연구소가 기획하고 학계 각 분야의 권위자 17명이 집필한 한국사 교양서로, '전문가들이 쓴 가장 믿을 만한 한국사', '건강한 역사관을 가진 균형 잡힌 한국사', '세계와 소통하는 한국사', '스토리와 비주얼로 읽는 입체적인 한국사'를 표방한다. 3권에서는 명과 청이 주도하던 동아시아에서 장구한 역사를 써내려간 조선의 탄생과 성장, 소멸을 들여다본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추천사
발간사
서문
1 조선왕조의 성립과 체제 정비 1392·1494
01 혼돈의 동아시아, 새로운 사람들이 모이다 : 조선왕조의 개창과 통치 체제
조선의 계획도시, 한양 : 한양 정도의 정치적 배경
왕의 진짜 이름은? : 왕의 호칭, 왕실의 호칭
02 농사짓는 백성의 근심이 없게 하라 : 수취제도와 농민의 삶
세종이 도량형을 통일한 까닭 : 도량형과 생활
03 농사짓기는 나라의 근본이라 : 농업 발달과 장시의 등장
무명옷이 바꾼 백성들의 삶 : 면화와 의생활
조선의 농사 기술사 : 노동과『농사직설』
04 백성들의 삶을 이롭게 할 조선의 과학 : 세종 대 과학 기술의 발달
중국의 조선, 그리고 세계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2 양반 사회의 성장 1494·1567
01 하늘이 낳은 백성 중 양반이 으뜸이라 : 신분제의 변화와 양반
양반 신분의 보증서 : 족보의 편찬
02 향촌 사회를 다스리는 절대 권력 : 사족 지배 질서의 형성
형벌로 본 조선사회 : 조선의 형법
03 사림, 권력의 중심으로 나서다 : 조선 중기의 정치 변화
조선의 관리로 사는 법 : 관리의 선발과 생활
04 조선을 움직이는 원리 : 조선 성리학의 발달
심성 논쟁의 배경과 라이벌 : 조선의 사상 논쟁
3 흔들리는 사대교린의 외교 관계 1567·1649
01 16세기 동아시아 정세의 변화 : 대외 관계와 전쟁
조선의 첨단 무기 : 화약과 총통
02 전쟁의 소용돌이에 휩쓸리다 : 임진왜란과 그 영향
물 건너와 입맛을 바꿔버린 물건 : 담배와 고추
03 급변하는 중국 대륙의 틈바구니에서 : 호란과 그 영향
소현세자는 무엇을 보았는가 : 소현세자의 인질 생활
04 이웃과 새로운 관계를 맺다 : 연행사와 통신사
생활 중국어와 속성 일본어 : 역관과 외국어 학습
4 정치 변동과 경제의 성장 1649·1800
01 조선왕조의 신하들, 붕당을 만들다 : 붕당정치의 시대
왕을 낳은 후궁들 : 7궁과 조선 후기 왕실 계보
02 세금 제도가 바뀌어도 힘든 살림살이 : 수취 체제의 변화
성씨가 없는 사람, 이름이 없는 사람 : 호적 속의 노비
03 농업 기술의 발달, 부농과 빈농을 가르다 : 조선 후기 농업과 지주제의 변화
충청도 양반가의 의생활과 식생활 :「정훈」을 통해 본 양반 지주의 경제생활
04 커져가는 한성부, 발전하는 상업 : 조선 후기 장시의 발달
광산업에 뛰어든 민간 자본 : 광산과 광업
05 절정에 이른 조선의 문화 : 18세기 문화 발달
풍속화에 담긴 조선의 정신과 기품 : 김홍도와 신윤복
5 양반 사회의 동요와 민중의 성장 1800·1863
01 세도정치와 뒤숭숭한 동아시아 정세 : 19세기 정치제도
부패한 관리를 벌주는 백성들의 해결사 : 암행어사
02 성리학의 흐름과 실학의 성장 : 실학, 북학, 동학, 서학
'학생부군신위'의 진실 : 유학과 학생
03 신분제가 흔들린다, 지방이 동요한다 : 19세기 지방 사회
딸이 아닌 아들에게 재산을 상속한 이유 : 양반의 재산 상속
04 새로운 사회를 모색하다 : 민중의 저항 운동
농민항쟁의 지도자들 : 전국의 농민 항쟁
연표
찾아보기
이미지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