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최근의 통계를 바탕으로 700만 명이 넘는 예비 은퇴자 중 40% 이상이 빈곤층으로 전락할 수 있다고 경고하며 은퇴 후 어떻게 해야 먹고살 수 있고, 또 행복한 삶을 살 수 있을 것인가를 이야기하는 책이다. 저자는 돈이 은퇴 준비의 전부가 아니고, "자본과 매스컴의 논리에 휘둘려 돈 중심의 늪에 빠지지 말라"며 시골로 내려가 자연과 공존하며 단순소박한 삶을 살 것을 주장하고 있다.
목차
들어가는 말
1부 고령사회에 흔들리는 한국의 은퇴자
은퇴 원년 2010
은퇴 준비는 빠를수록 좋다
은퇴 준비에 둔감한 한국인
빈곤의 나락으로 떨어지기 쉬운 은퇴자
세계 최고 수준의 노인 자살률
2부 한국에서의 은퇴 준비
정부 통계에 보이지 않는 구멍
지난 10년간 노인정책의 변화
베이비붐 세대의 우울한 현주소
65세 이상의 고령자 일자리는 없다
일선에서 소리없이 쫓겨나고 있는 중고령자
베이비붐 세대 은퇴, 무엇이 문제인가
평균수명 90~100세까지 살려면 돈이 얼마나 필요할까
3명 중 1명은 국민연금 사각지대
은퇴 생활을 건강하고 여유있게 하려면
적정한 노후생활자금은 얼마일까
노후자금 당장 준비하기 시작하자
노후자금 준비에 적절한 금융상품은?
노후자금은 어떻게 운용하는 것이 안전한가
시골 생활비 한 달에 얼마 드나
3부 살기 위해 새로운 일을 시작한다
3층보장시대의 대한민국
4층보장시대를 넘어 5층보장시대로
제3의 인생기에는 어떻게 일해야 할까
단계적 은퇴를 하라
좋아하는 분야의 재취업에 도전하라
창업에 도전하라
부업을 활용하라
4부 노후자금을 모으는 것이 은퇴 준비의 전부는 아니다
은퇴를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
무엇이 행복한 은퇴에 이르는 길인가
새로운 행복을 찾아 떠나는 여행, 은퇴
은퇴 후 ‘돈!’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나
돈이 은퇴 준비의 전부가 아니다
풍요로운 은퇴는 젊은 시절의 결심에 달렸다
언제 어떻게 은퇴할 것인가
5부 은퇴 후에는 이런 집에서 살고 싶다
주거문화가 달라진다
10년 후의 주택과 주거 문화
은퇴 후 어떤 집에서 살 것인가
그림 같은 전원주택에서 살기
도시에서 살기
현재 살고 있는 집 리모델링하기
자녀세대와 같이 살기
노인들의 꿈, 실버타운
6부 귀농·귀촌한다면 어떤 지자체로 가야 하나
지자체가 원하는 귀농·귀촌자
귀농·귀촌자 유치는 지자체 마케팅의 핵심
은퇴 귀농자가 알아야 할 농촌 비밀 몇 가지
은퇴자들과 지자체가 상생하는 길
지자체의 인구유치 정책
어떤 지자체를 선택할 것인가
미국 지자체의 은퇴자 유치 사례
‘미국 은퇴자들의 천국’ 사우스캐롤라이나 주
우리나라 지자체의 은퇴자 유치 마케팅
지자체의 반마케팅
7부 은퇴하면 어디서 뭐 먹고 살래
살기 좋은 곳에 가서 살자
시골에서의 생태적 삶
은퇴 후 생태적인 삶을 살려면
은퇴 후 뭐 먹고 살까
4척 하지 말자
도농교류
8부 은퇴하면 살고 싶은 마을
강원 화천 동촌리
전남 강진 월남리
충북 단양 한드미마을
경북 경주 다봉마을
강원 평창 수림대 마을
용어해설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