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점점 메말라가고 텅비어가는 지방에 생기를 불어넣기 위하여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으며, 무엇을 해야 할 것인가. 충북대 행정학과 강형기 교수는 이 책을 통해 도시경영의 창조성을 키움으로써 국가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구체적 사례를 다양하게 제시한다. 단순히 외국학자가 쓴 창조도시와 도시재생이론을 소개하려는 것이 아니라, 한국의 향토와 풍토에서 성찰하고 있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책을 펴내면서│지역창생학 서설

제1장 지역창생의 문화전략
제1절 지역창생의 문화전략과 창조도시
1. 창조도시의 대두
2. 지역창생과 문화적 이노베이션
제2절 지역창생의 다양한 문화전략
1. 문화예술로 경작하는 지역창생
2. 인재의 결집으로 경작하는 지역창생
3. 고유자원으로 경작하는 지역창생
4. 풍토로 경작하는 지역창생

제2장 지역창생의 조건과 창조적 환경의 창조
제1절 창조성의 다양한 조건
제2절 정치제도적 조건(경쟁의 제도화와 지방분권)
1. 위기감의 공유
2. 지역 간 경쟁체제의 확림
3. 지방분권과 정부의 지원체제 확립
제3절 공간적 조건(문화적 공간과 창생의 거점 구축)
1. 문화적 환경의 정비
2. 창조산업의 기반조성
3. 창생의 교두보 조성
제4절 인간적 조건(리더십과 네트워크의 구축 및 개방성의 함양)
1. 리더와 다양한 인재의 육성
2. 네트워크의 구축
3. 관용성의 함양
제5절 창조도시로부터의 메시지

제3장 지역브랜드의 창조와 브랜드경영
제1절 도시경영의 문화전략과 지역브랜드
1. 지역브랜드 창조의 함의
2. 지역브랜드의 성격과 가치
제2절 지역브랜드의 구조와 구축 프로세스
1. 지역브랜드의 가치구조
2. 지역브랜드 구축 프로세스
제3절 지역브랜드의 파워형성과 아이덴티티
1. 제품으로서의 지역브랜드: 지역의 오리지널리티
2. 조직으로서의 지역브랜드: 참여조직의 내발적 연대성
3. 인격으로서의 지역브랜드: 일관성
4. 심볼로서의 지역브랜드: 교류성
제4절 지역브랜드의 홍보와 관리
1. 지역브랜드 커뮤니케이션
2. 지역브랜드의 관리와 혁신

제4장 자원의 창조적 발굴과 개발
제1절 수요와 가능성의 탐색(天의 時를 읽어라)
1. 시대의 눈으로 창조하는 지역자원
2. 슈퍼고객의 눈으로 발굴하는 지역자원
3. 장기적 안목으로 발굴하는 지역자원
제2절 고유자원의 개발과 활용(地의 利를 활용하라)
1. 고유가치의 발굴과 개발
2. 고유가치의 재창조
제3절 리더십의 발휘와 협동의 연출(人의 和를 연출하라)
1. 리더십의 발휘
2. 네트워크의 가동

제5장 지역창생과 협동의 실천
제1절 목표설정과 지역창생
1. 목표설정의 함의
2. 목표설정 방법과 절차
제2절 협동과 연대의 구축
1. 인재의 발굴과 참여의 확대
2. 공감의 창조와 공유의 확산
제3절 실행시스템의 구축
1. 역할분담과 지원체제의 구축
2. 사업과 지역 간의 연대

제6장 무엇을 위한 창생이며 발전인가
제1절 지역창생과 발전의 의미
제2절 내생적 발전론의 비판적 재구성
제3절 지역발전의 진정한 의미와 지역창생의 목표
1. 경제적 성장
2. 자립성(Self-reliant)의 향상
3. 내발성(Endogenous)의 확립
4. 생태적 건강성(Ecologically sound)의 증진
5. 품격의 함양

맺음말을 대신하여 | 지역창생은 마음의 재생에서

참고문헌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정책과 제도의 문화적 분석 정책과 제도의 문화적 분석 2002 / 박종민 편저 / 박영사
관료부패론 관료부패론 1996 / 전수일 저 / 선학사
行政統制論 行政統制論 1997 / 鄭宇一 著 / 박영사
인사행정론 인사행정론 2001 / 채한수 지음 / 삼영사
韓國의 科擧制度 韓國의 科擧制度 1994 / 李成茂 著 / 集文堂
연속변침 : 거꾸로 쓴 세월호 전복·침몰·구조 보고서 연속변침 : 거꾸로 쓴 세월호 전복·침몰·구조 보고서 2015 / 이동욱 지음 / 조갑제닷컴
(함께 풀어가는)지역갈등 (함께 풀어가는)지역갈등 1996 / 삼성경제연구소 정책연구센터 지역경제연구부문 편 / 삼성경제연구소
지역창생학 : 문화로 일구는 창조적 재생 지역창생학 : 문화로 일구는 창조적 재생 2010 / 강형기 지음 / 생각의나무
내고장 마케팅 내고장 마케팅 1998 / 필립 코틀러 지음 ; 이종영 ; 구동모 옮김 / 삼영사
우리 서울, 이렇게 바꾸자 우리 서울, 이렇게 바꾸자 1995 / 경제정의실천 시민연합 저 / 比峰出版社
한국의 지방정치와 도시권력 구조 한국의 지방정치와 도시권력 구조 2000 / 박종민 편 / 나남출판
송파가 뜨고 있다 송파가 뜨고 있다 2005 / 이유택 지음 / 책보
호남의 지역지배구조 형성배경 호남의 지역지배구조 형성배경 2001 / 백운선 저 / 백산서당
일본의 지방자치 일본의 지방자치 1996 / 이호철 저 / 삼성경제연구소
영국의 지방정부 영국의 지방정부 1996 / 임성일 저 / 법경사

같이 빌린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예술의 섬 나오시마  : 아트 프로젝트 예술의 재탄생 예술의 섬 나오시마 : 아트 프로젝트 예술의 재탄생 2013 / 후쿠타케 소이치로 ; 안도 타다오 외 지음 ; 박누리 옮김 / 마로니에북스
성찰적 창조도시와 지역문화 성찰적 창조도시와 지역문화 2012 / 이현식 지음 / 글누림출판사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지방도시 살생부  : '압축도시'만이 살길이다 지방도시 살생부 : '압축도시'만이 살길이다 2017 / 마강래 지음 / 개마고원
지방분권이 지방을 망친다 : 지방분권의 함정, 균형발전의 역설 지방분권이 지방을 망친다 : 지방분권의 함정, 균형발전의 역설 2018 / 지음: 마강래 / 개마고원
지방자치의 이해 지방자치의 이해 2001 / 장황래 저 / 대왕사
부산, APEC 넘어 세계로 뛴다 부산, APEC 넘어 세계로 뛴다 2006 / 허남식 지음 / 중앙일보미디어디자인
인천 10대 가출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지원방안 연구 인천 10대 가출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지원방안 연구 2003 / 이숙진; 한설아 공저; 인천발전연구원 편 / 인천발전연구원
인천시민 성의식 조사 인천시민 성의식 조사 2004 / 인천발전연구원 / 인천발전연구원
地方議會過程論 地方議會過程論 2006 / 朴奉國 著 / 博英社
지방자치단체 변화관리를 위한 전략기획의 활용방안 지방자치단체 변화관리를 위한 전략기획의 활용방안 2000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편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지방세 부과. 징수체계의 개선방안 지방세 부과. 징수체계의 개선방안 2000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편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지방자치단체 민간위탁의 개선방안 지방자치단체 민간위탁의 개선방안 2000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편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한국도시행정학  : 이론과 실제 한국도시행정학 : 이론과 실제 2009 / 이규환 지음 / 法文社
창조적 발상과 지역경쟁력 : 발상의 전환을 촉진하는 길잡이 창조적 발상과 지역경쟁력 : 발상의 전환을 촉진하는 길잡이 2008 / 손상락 외 43인 지음 / 한울
인천지역 근대산업유산의 문화적 재활용에 관한 연구= (The)cultural reuse of modern industrial heritage in Incheon region 인천지역 근대산업유산의 문화적 재활용에 관한 연구= (The)cultural reuse of modern industrial heritage in Incheon region 2009 / 신성희 지음 / 인천발전연구원
인천광역시 설계VE 활성화 방안 연구= Strategies to promote VE(Value engineering)in Incheon 인천광역시 설계VE 활성화 방안 연구= Strategies to promote VE(Value engineering)in Incheon 2009 / 최병국 연구 / 인천발전연구원
(서울민국 타파가 나라를 살린다) 지방 식민지 독립선언 (서울민국 타파가 나라를 살린다) 지방 식민지 독립선언 2015 / 지음: 강준만 / 개마고원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0
40대0
50대1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1
2017년0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