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옮긴이 서문
2판 저자 서문
1장 주권의 정의
주권과 예외상태
보댕의 주권 개념 및 주권과 예외상태의 개념적 결합을 보여 주는 자연법적 국가론의 주권 개념
예외사례를 무시하는 자유주의 법치국가의 원리
다양한 학문적 관심이 던지는 규칙(규범)이냐 예외냐라는 질문의 일반적 의미
2장 주권 문제, 그것은 법형식과 결정의 문제
국가론에 대한 새로운 저술들: 켈젠, 크라베, 볼첸도르프
결단에 근거한 법형식의 특성(기술적 혹은 감성적 형식과 대비하여)
결정의 내용과 주체와 고유한 의미
‘결단주의적’ 사유의 예시로서의 홉스
3장 정치신학
국가론에서의 신학적 표상들
법학 개념의 사회학, 특히 주권 개념과 관련하여
한 시대의 사회구조와 그 형이상학적 세계상의 일치, 특히 군주제와 신학적 세계상과 관련하여
18~19세기에 일어난 초월표상으로부터 내재성으로의 이행(민주주의, 유기체적 국가론, 법과 국가의 동일성)
4장 반혁명 국가철학에 관하여―드 메스트르, 보날드, 도노소 코르테스
반혁명 국가철학의 결단주의
‘태생적으로 악한’ 인간과 ‘태생적으로 선한’ 인간이라는 대립하는 테제의 근저에 깔려 있는 권위주의적 이론과 무정부주의적 이론
자유주의 부르주아지의 입장과 이에 대한 도노소 코르테스의 정의
독재의 정통성에 관한 이념사적 발전
옮긴이 해제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