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어판 서문
서장 국제 질서론과 근대 일본 연구
머리말
1. 이 책의 목적
2. 이 책의 구성
맺음말
제1장 전후 외교론의 형성-'이상주의'와 '현실주의'의 계보학적 고찰
머리말
1. ‘전전’의 맥락 : 보편주의에서 지역주의로
2. ‘전중’의 맥락 : 지역주의 속의 내셔널리즘
3. ‘전후’의 문맥 : 주권 개념의 안쪽에서
맺음말
제2장 고전 외교론자와 전간기 국제 질서: 시노부 준페이의 경우
머리말
1. ‘신외교’와 ‘국민 외교’
2. 만주사변 전후
3. 전시 국제법의 황혼 속에서
맺음말
제3장 ‘동아협동체론’에서 ‘근대화론’으로-로야마 마사미치의 지역·개발·내셔널리즘론의 위상
머리말
1. 발상의 원형
2. ‘동아 협동체론’에의 경사
3. 전후의 재편
맺음말
제4장 무정부주의적 상상력과 국제 질서-다치바나 시라키의 경우
머리말
1. 초기 다치바나의 관심
2. 중국 국민 혁명에 대한 대응
3. ‘자치’의 유토피아와 지역 질서
맺음말
제5장 ‘제국 질서’와 ‘국제 질서’-식민 정책학에서의 매개의 논리
머리말
1. 예비적 고찰 : 매개 논리로서의 ‘사회’ 개념
2. 문명의 흥망 : 니토베 이나조의 식민 정책 강의
3. 사회의 발견 : 제국 재편과 식민 정책학
4. 식민지 없는 제국주의 : 광역 질서 속의 식민 정책학
맺음말
종장 일본 외교사의 ‘낡음’과 ‘새로움’-오카 요시타케 「국민적 독립과 국가 이성」 재론
머리말
1. 아시아주의·탈아·내셔널리즘
2. 다이쇼 데모크라시와 국제 협조주의
3. 협동체적 사회 구성과 주권 국가질서
맺음말
저자 후기
역자 후기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