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개념사총서』발간사
저자의 말
서론
'개념사'란 무엇인가
'민족'과 '민족주의'의 개념 수용사
Part 1 민족
1. 서양의 ‘민족’ 개념
'민족' 개념의 정의
'민족' 형성에 관한 이론들
2. 동아시아의 ‘민족’ 개념 수용사
전통 시대 중국의 '민족', '족류' 기념
일본의 '민족' 용어 만들기
근대 중국의 '민족' 개념 수용
3. 한국의 ‘민족’ 개념의 형성과 수용
조선 시대 '족류族類', '동포同胞'의 개념과 범주
1890년대 후반 '동포' 개념의 확대
1905년 이후 『황성신문』과 『대한매일신보』의 '민족' 개념 수용
도일 유학생들의 '민족' 개념 강조
'민족'의 구성과 성격
4. 식민지 시기 ‘민족’ 개념의 정착과 변화
1910년대 '한국 민족'의 범주에 대한 논의
3·1 운동 이후 '민족' 개념의 확산과 정착
1920~1930년대 '민족' 개념을 둘러싼 논쟁
5. 해방 이후 ‘민족’ 개념의 변화
분단의 위기와 '단일민족'론의 대두
해방 이후 남북한의 '민족' 개념 변화
Part 2 민족주의
1. 서양의 ‘민족주의’ 개념 정의
2. 대한제국기 ‘민족주의’ 개념의 수용
'민족주의' 개념의 수용
'문화적 민족주의'의 출발
3. 1910년대 민족평등주의론과 문화적 민족주의론
민족평등주의론의 대두
문화적 민족주의의 발전
4. 3ㆍ1 운동 전후의 민족주의론
민족자결주의론
공화주의와의 결합
5. 1920∼1930년대의 민족주의론
민족주의 우파의 민족주의론-『동아일보』를 중심으로
민족주의 좌파의 민족주의론-안재홍을 중심으로
6. 1930년대 민족주의와 파시즘의 만남
7. 해방 직후의 민족주의론
안재홍의 신민족주의론
김구의 자유주의적, 문화적 민족주의론
백남운의 민족주의론
민족 청년단의 민족 지상·국가 지상주의론
8. 이승만 정권의 민족주의: 일민주의
9. 한국 전쟁 이후 남북한의 민족주의론
남한의 민족주의론
북한의 민족주의론
결론
문헌목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