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인문정신과 예술혼이 씨줄과 날줄로 아름답게 수놓인 예술기행 산문의 백미, <화첩기행> 연작은 1999년 첫째 권을 선보인 이래 독자들의 열렬한 지지 속에서 꾸준한 사랑을 받아왔다. <화첩기행>의 개정판으로, 지역별.주제별로 분류, 전면 개정하고 4권으로 묶었다.
목차
개정판 서문 『화첩기행』 다섯 권을 새로 묶으며
채만식과 군산―옛 미두장 자리에는 비가 내리고
이매창과 부안―이화우 흩날릴 제 ‘매창뜸’에 서서
이삼만과 전주―이 먹 갈아 바람과 물처럼 쓸 수만 있다면
서정주와 고창―선운사 동백꽃에 미당 시가 타오르네
임방울과 광산―낡은 소리북 하나로 남은 명창 40년
운주사와 화순―천년의 바람이여, 운주의 넋이여
강도근과 남원―동편제왕이 쉰 소리로 전하는 사랑노래
조금앵과 남원―달이 뜬다, 북을 울려라
최명희와 남원―육신을 허물고 혼불로 타오른 푸른 넋 최명희
김명환과 곡성―섬진강변 따라 굽이치던 조선 명고의 북소리
황현과 구례―지리산 옛 시인의 절명시가 우네
이난영과 목포―이난영의 목포는 울지 않는다
진도소리와 진도―노래여, 옥주 산천 들노래여
허소치와 해남―조선 남화의 길 따라
윤선도와 보길도―보길도에 들려오는 어부의 가을 노래
김승옥과 순천―청년들이 찾아가는 몽환의 도시, 무진
이중섭과 제주―그리움으로 채색된 서귀포의 환상
김정희와 제주―탐라의 하늘에 걸린 <세한도> 한 폭
김동리와 하동―저문 화개장터에 ‘역마’는 매여 있고
남인수와 진주―남강에 번지는 애수의 소야곡
유택렬과 진해―진해에서 피고 진 남도의 화인 유택렬
문장원과 동래―언제 다시 한바탕 동래춤을 춰볼꼬
암각화와 언양(울산)―대곡천 비경에 펼쳐진 선사미술관
박세환과 경주―서라벌 향해 귀거래사 부르는 광대
이인성과 대구―낡은 화폭에 남은 달구벌 풍경
이상화와 대구―빼앗긴 가슴마다 봄이여 오라
별신굿탈놀이와 안동 하회―유림은 모른다네, 한풀이 탈춤
정지용과 옥천―얼룩빼기 황소울음…… 꿈엔들 잊힐 리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