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개념사의 맥락에서 바라본 한국의 과학과 종교. 과학과 종교의 관련성을 살펴보는 일은 오늘날 한국 사회를 이해하기 위한 통로의 하나로서 중요하게 취급될 필요가 있다. 그 작업은 과학과 종교의 관계에 대한 여러 입장 중 어느 입장이 바람직한가를 판단하는 차원에서가 아니라, 한국 사회에서 과학과 종교의 관계에 대한 인식이 어떤 역사적 과정을 통해 형성되었으며 현재 어떤 양상을 띠고 있는가를 객관적으로 해명하는 데에 초점을 두고 이루어져야 한다.
목차
저자 소개와 총서 기획편집위원회
일러두기
발간사 <한국의 과학과 문명> 총서를 펴내며
서장 / 김호덕
I부 개념사의 관점에서 본 과학과 종교 / 장석만
과학/종교를 묻는다
1장 서구의 ‘science & religion’ 담론과 그 성격
2장 ‘science’의 출현의 문명적 기반: 인도와 중국 문명의 비교
1. ‘science’의 출현과 중국 문명
2. ‘science’의 출현과 인도 문명
3장 동아시아 ‘과학과 종교’ 담론의 출현: 일본과 중국의 경우
1. 일본의 경우
2. 중국의 경우
4장 19세기 말-20세기 초 한국 관련 사전에 나타난 science와 religion, 과학과 종교라는 말
5장 ‘과학과 종교’ 담론의 유형
1. 과학에 의한 종교의 해소
2. 과학을 복속하는 종교의 자세
3. 종교와 과학의 각자도생(各自圖生)
과학/종교의 경계선과 그 관계의 양상
2부 근대과학과 한국 기독교
1장 근대과학과 한국 천주교: 서학 수용론의 인식구조 / 조현범
1. 동아시아에 소개된 천주교
2. 리치 패러다임에 대한 재검토
1) 예수회의 중국 선교에 대한 기존 해석
2) 자연신학적 사유
3) 예수회 신학교의 교육 내용
4) 리치 자신의 언명에 나타난 선교 방법론
3. 조선 유학자들의 서학 인식
1) 과연 과학과 종교를 구분하였을까
2) 대안적인 해석
4. 과학과 종교의 구분을 넘어서
2장 근대과학과 일제하 개신교: 일제하 한국 개신교의 과학 담론과 진화론에 대한 태도 / 이진구
1. 일제하 한국 개신교의 과학과 종교의 관계에 대한 이해
1) 반종교 담론의 등장과 전개
2) 일제하 한국 개신교의 과학 담론
2. 일제하 한국 개신교의 진화론에 대한 인식과 태도
1) 미국 개신교계의 창조-진화 논쟁
2) 일제하 한국 개신교의 진화론에 대한 태도
3장 근대과학과 해방 이후 개신교: 해방 이후 개신교의 ‘과학과 종교’ 담론 / 전철
1. 한국 개신교와 과학문명 논쟁
2. 해방 이후 한국 개신교의 과학문명 이해
3. ‘진리’의 관점에서 본 종교와 과학의 지형
4. ‘과학’과 ‘종교’ 개념의 재구성
5. ‘과학과 종교’ 논쟁의 핵심 쟁점
6. 한국 개신교와 과학문명의 과제
3부 근대과학과 한국 전통종교
1장 근대과학과 한국 불교: 근대 불교 지식인의 과학 개념과 과학기술 수용 / 민순의
1. 한국의 불교와 과학
2. 근대 동아시아 불교계의 과학 이해: 합리주의적 세계관과 사회진화론
3. 한용운의 연기론적(緣起論的) 인과율(因果律) 이해: 불교의 과학적 재발견
4. 대중불교운동의 실용주의적 과학관: 과학기술의 방편적 수용과 확산
5. 근대 심화기 불교 대중에게 각인된 과학기술의 이미지: 서울 흥천사 감로탱의 사례
6. 한국 불교의 과학 수용과 교리적 접목
2장 근대과학과 한국 신종교: 근대과학 및 문명에 대한 한국 신종교의 인식과 대응 / 박상언
1. 근대 한국 사회와 신종교의 자리
2. 근대과학·문명에 대한 한국 신종교의 인식
3. 한국 신종교의 과학/문명 비판
4. 근대과학에 대한 한국 신종교의 종교적 대응의 특징
4부 과학적 이기의 도입과 종교 경험의 변화
1장 테크놀로지의 진화와 종교적 체험의 동역학 / 김태연
1. 테크놀로지의 경험을 통한 종교적 경험의 변화
2. 테크놀로지: 피조된 인간이 만든 작품
3. 테크놀로지의 진화와 천도교의 해석학
1) 과학은 인간 정신력의 산물
2) 기술의 진보는 인간 영적 능력의 진보
3) 테크놀로지의 진보와 인간과 우주의 융합
4. 테크놀로지와 종교적 상상력
2장 근대 소리 매체(라디오, 유성기)가 생산한 종교적 풍경 / 도태수
1. 근대적 ‘이기’(利器)의 출현과 감각적 실천
2. 근대의 소리와 상상력
3. 라디오, 유성기, 종교에 대한 발화
4. 근대적 공간의 형성과 감각적 ‘자기 훈련’
3장 사진의 보급과 의례문화의 변화 / 방원일
1. 선교사들이 촬영한 한국의 종교문화
2. 사진과 의례문화의 변화
1) 망자의 형상화와 비형상화
2) 사진으로 증명되는 결혼
3) 사후의 인연을 맺어주는 사진
3. 사진과 새로운 의례문화
종장 / 김호덕
주석
참고문헌
찾아보기
Contents in English